깊이와 넓이 4막 16장 - 해리 포터에서 피버노바(FeverNova)까지
김용석 지음 / 휴머니스트 / 200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철학을 포함하는 인문학은 이 세상의 수많은 '경우의 수'속에서 인간적 '삶의 의미'를 포착하여 '삶의 재미'를 찾아왔다고 볼 수도 있다. (P79)저자는 이 책에서 세상현상에 대해 깊게 그리고 넓게 바라보기를 행한다. 그의 용어로는 또 다시 가로지르기와 세로지르기로 표현되어지는데 이렇게 세상을 바라보는 것은 획일화된 관점을 벗어나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즉 인생의 수많은 경우의 수를 확보하기 위한 전초전인 것이다. 가로지르기는 그야말로 다양한 스펙트럼을 가지고 현재의 모습을 재조명하는 것이요, 세로지르기는 통시적 관점에서 과거를 평가하고 미래를 소환하는 작업이다.

그의 이런 작업에선 해리포터와 같은 판타지가 현실을 바라보는 새로운 눈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대중소설로만 치부되어지는 것이 아니요, 한때 유행했던 느림이라는 것이 가진 자들의 자연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된 것임을 밝힌다. 또한 이미지 시대의 함정인 이미지에 딴죽을 걸고 한없이 가벼운 것에 대한 추구에 태클을 건다. 이것은 이미지나 가벼움이라는 것이 이성으로 대변되는 무거움이 해결된 상황에서 자유자재로이 즐길 수 있다는 것이다. 모더니즘이 완결되지도 않은 상태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이 팽배했던 과거의 우리 모습을 반성하면서 말이다.

길을 걷다 뒷모습이 아름다운 여자를 보면 둘 중의 하나를 택하게 된다. 그 뒷모습에 만족하며 상상으로 즐기거나 기어코 앞 모습을 확인해 보는것. 그러나 대부분 앞모습을 보면 실망을 하게 된다. 그래서 사람들은 실망보단 상상속에서 즐기기를 바란다. 하지만 그 여자의 진정한 모습은 앞의 추함과 뒤의 아름다움 모두라는 것을 인정해야 하며 그 뒷모습을 통해 상상해본 또 다른 여인은 희망으로서 우리에게 남겨진다. 따라서 우리네 삶은 바로 여인의 앞모습을 확인해보고자 <애쓰는 태도>를 지녀야 하며 이것은 깊게 생각하고 넓게 바라보았을 때 만이 가능한 것이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