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두 1
최인훈 지음 / 문이재 / 2002년 4월
평점 :
품절


신, 아니면 공동체의 규범, 또 좀 내려오면 역사의 법칙 그런 것으로 풀이할 수 있는 어떤 것이다. 이 우주와 역사와 인생의 길흉화복과 조화를 한손에 쥐고 있는 존재거나, 법칙이거나, 어떤 소식이 발하는 목소리,그것이 뒤돌아보지 말라의 세계다. 그런데 그런 존재나 법칙이나 소식이 모두 희미해졌거나 이미 간곳 없어 보이는 시간을 사는 시대 인간은 어쩌면 좋은가 -p530

<과거는 묻지 마세요>라는 유행가 가사가 오히려 얼마나 인간이 과거에 집착해 살아가고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는 것처럼, 즉 과거에의 <기억>을 유지하고 살아가는 존재는 비단 인간일 뿐이라는 생각이 결코 망상은 아닐 것이라고 생각해본다. 기억에 대해 뒤돌아봄으로써 만이 다시 과거로의 퇴행을 막을 수 있을뿐더러 보다 나은 앞으로의 세상으로 발을 내디딜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 소설은 그런 의미에서의 작가 자신의 뒤돌아보기이며 20세기의 뒤돌아보기의 시도라고 여겨진다. 일제시대부터 80년대 후반까지 역사의 회오리속에서 살아간 자신의 운명이 해방후 개인적 상반된 두 경험에 의해 전 생애가 지배당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이것은 단순히 자신만의 일이 아니라 인류공동체의 삶 자체의 두 흐름이 아닐까 회상하는, 그의 개인사는 지금도 우리 모두의 개인사에 그대로 투영되어지고 있다고 생각된다.

<공동체적 감정>과 <공동체적 이성>사이에서 자신의 정체를 확립함으로써만이 사회적 공동체로서의 자기동일성을 지닌다는 생각(p357)은 그야말로 지극히 개인적이면서도 역사적이다. 그러나 이 감정과 이성사이의 통합이 무너짐으로써 정체성의 혼돈을 느끼고 있는 현실의 나로서는 과거로의 퇴행을 막기위해서라도 다시 한번 뒤를 돌아보아야만 한다.

도대체 내가 어디에 서 있고 이 길은 어디로 흘러가고 있는지, 나는 그 길 위에서 어떤 생각을 지니고 있는지를 검토하지 않은 채 살아간다는 것은 그야말로 동물이 먹이를 사냥하고 새끼를 낳고 죽음에 이르는 것과 아무것도 다른 게 없음을 몸서리치도록 자각하게 만든다, 이 책은. 정녕 나에게 주어진 이 화두를 짊어지고 나 또한 내 자신의 삶과 이 세상을 한번쯤 뒤돌아본 후 -시간이 조금 걸리더라도 절대 조급해하지 말고 조그마한 한 걸음을 내디뎌야 할듯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