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춘아, 춘아, 옥단춘아, 네 아버지 어디 갔니?
이윤기 외 대담 / 민음사 / 2001년 6월
평점 :
품절
침묵으로 하루를 보내는 경우가 있다. 혼자 산다는 것은 말없이 산다는 것과 일맥상통할련지도 모르겠다. 역으로 함께 산다는 것은 어쩌면 남들과 이야기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여기 수 많은 이야기가 있다. 아버지와 딸이 선배와 후배가, 또는 동년배의 학자로서 등등 때론 어울린 듯, 어울리지 않는 듯 짝을 지어 대담을 나눈다.
깃털처럼 가볍게 인생을 이야기하다 바위처럼 무겁게 현실을 이야기한다. 이윤기씨 부녀간의 신화와 인생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해서 최장집씨의 이성에 대한 믿음으로 끝나는 이 책의 구성은 그야말로 다양한 스펙트럼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이윤기씨가 집착하는 그리스 로마 신화와 정재서씨가 주목하는 산해경을 비롯한 동양 고전속의 환타지는 비슷하면서도 다르다. 고대사람들의 상상의 세계속에서 한쪽은 인간의 저 밑바닥에서부터 꿈틀대는 본성의 탐구를 행하며, 또 다른 한쪽은 삶을 풍성하게 해주는 감성의 확장을 바란다.
신화와 판타지의 맞은편에선 세상을 향한 이성의 외침이 있다. 여성의 평등권을 가져올, 좀 더 나은 사회를 이룰 마지막 저격수, 탈이성의 시대라 불리며 이성이 찬밥신세가 되었다 할지라도 결국 진흙속의 연꽃을 피우는 건 이성임을 다시 한번 자각하게끔 만든다.
그러고 보면 책의 마지막에 이성에 대해 언급한 건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신화를 해석하는 것도 디지털의 논리도 문학이라는 것도 결국 세상을 향해 외치는 함성이라면 뜨거운 가슴을 전제로 차가운 이성의 숨결이 존재하지 않는 한 그저 메아리에 그칠 뿐일지도 모른다. 직접 대담자들과 얼굴을 맞대고 그들의 음성을 듣지는 못하지만 글이로나마 그들의 생각과 인생의 한켠을 조금 훔쳐볼 수 있다는 것은 행복한 경험임에는 틀림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