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실패를 감추는 사람, 실패를 살리는 사람
하타무라 요타로 지음, 정택상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01년 7월
평점 :
품절
월드컵 16강은 정말 꿈으로 끝나고 말까? 히딩크 감독에게 희망을 품고 있었던 많은 사람들은 최근의 평가전에서 보여준 대표팀의 나약한 모습에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지금이라도 감독을 바꿔야 하지 않는냐는 극단적 의견을 포함해 그가 한국축구를 잘 모른다는 비아냥까지 그에 대한 신뢰의 축이 조금씩 흔들리고 있다.
원래 우리 축구의 현주소가 이것뿐이었다고 자조하며 16강 보다는 국가 대사인 월드컵 자체를 잘 치루어내야 한다는 타협적 의견도 등장하고 있다. 그런데 <실패를 감추는 사람 실패를 살리는 사람> 이라는 이 책을 읽으면서 히딩크가 실패학을 전공한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과 함께 다시금 마음 속에 희망의 씨앗을 뿌리게 됐다.
실패학에선 실패란 결코 감추거나 비난받아야 할 그 무엇이 아니라 그 속에서 지식과 지혜를 얻어내 새로움을 창조해 낼 밑거름으로 쓰라고 한다. 또 품질관리 향상에 맞춘 조직원들의 전문화 이외에 전 부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진짜 베테랑을 육성해야 한다고 한다. 실패를 예방하고 사고가 발생했을 때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것은 끊임없는 상황연습과 전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했을 때에야 가능하다.
히딩크 감독이 토털축구를 지향하고 전선수들의 만능 플레이어화에 애를 쓰는 건 그가 항상 말했던 창조적 축구와 일맥상통한다. 즉 아무리 다양한 전략을 짜고 그것을 피나게 연습해 습득하더라도 실제 경기장에선 그 훈련때와 똑같은 상황은 천에 하나 주어질까 말까 한다. 그렇기 때문에 선수들은 훈련을 바탕으로 상황이 변했을 때 임기응변의 묘를 터득해야 하는데 이는 모든 선수들이 만능플레이어가 되었을 때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있다. 즉 무턱대고 작전대로만 이행하려는 우둔한 소에서 상황상황 최선의 방법을 찾아내는 여우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더군다나 최근의 계속된 실패는 우리의 고질적 약점을 보완할 수있는 약이 될 것임은 명약관화하다. 다만 그 실패를 거울삼아 지식과 지혜로 다듬을 시간이 충분한가에 대한 의문만이 남아 있다. 하지만 이런 실패에 대한 자세의 변화는 꼭 이번 월드컵에서 성과를 드러내지 못할지라도 언젠가는 그 달콤한 열매를 맺을 수 있으리라는 확신이 든다. 성공은 99%의 실패와 1%의 영감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다시 한번 가슴에 새겨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