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화로운 삶
헬렌 니어링 외 지음, 류시화 옮김 / 보리 / 2000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루소는 <자연으로 돌아가라> 고 외쳤다. 문명이 가져다 준 인간성 말살에 대해 저항하며 인간본성, 즉 자연의 회복을 주창했던 것이다. 19세기 후반 소로우는 <월든>이라는 책을 통해서 직접 자연속으로 들어가 실험적 삶을 꾸렸다. 이제 다시 20세기 자연주의자 니어링 부부를 이 책 <조화로운 삶>에서 만나게 된다. 왜 이들은 도시를 버리고 시골로 들어가 자급자족하는 삶을 택한 것일까?

삶을 넉넉하게 만드는 것은 소유와 축적이 아니라 희망과 노력이다. 우리는 이렇게 생각하기 때문에 성공할 가능성이 없을 지라도, 버몬트 공동체를 일으켜 세우는 일을 다시 한번 실천할 생각이 있다. 그때는 단순히 우리 두사람이 먹고 사는 일뿐 아니라 사회가 두루 함께 잘 사는 길을 찾으려고 애써 보리라. (P.214)

현재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자본주의라는 제도는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착취와 억압의 삶 속으로 밀어넣고 있다. 자신의 노동력을 파는 과정에서 그리고 욕구의 대상인 물건들을 사는 과정에서 아무리 정직하고 성실한 삶을 살아간다 해도 그 속엔 이미 모순이 담겨있다. 하지만 우리는 그 달콤한 모순을 쉽게 벗어날 순 없다.

그 사람들은 문명이 주는 흥분, 분주함. 매혹, 편의 시설, 마취제 없이는 살 수 없었다. (P.208)

끊임없는 욕구에 대한 자극에 우리는 이미 포로상태에 놓여 있는 것이다. 물론 우리는 당장 탈옥이라는 선택을 할 수 있다. 하지만 그것이 가져올 당장의 변화에 대한 두려움이 우리를 현실에 얽매이게 만든다. 이 책의 매력은 바로 이 순간에 있다. 어떻게 살 것인지에 대한 실용서로서의 역할을 해내고 있기에 과감히 행동으로 옮길 용기를 북돋워 준다. 다만 이 책이 미국의 시골을 배경으로 하고 있어 우리가 당면한 문제와 조금은 다르다는 점에서 아쉽긴 하다. 또한 앞에서도 이야기하고 있듯 이러한 모험이 공동체 삶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개인적 실험에 그치고 있는 안타까움도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월든>을 읽었을 때보다 더 자신감을 가지게 되긴 하지만 여전히 도시의 삶에 길들여진 나의 육체를 자연으로 돌리기엔 용기가 부족함을 느끼며 자기 변명을 끊임없이 늘여놓는다. 하지만 머리로 알되 몸으로 알지 못하는 나를 한탄하면서도 아직 희망의 끈을 완전히 놓아버리지는 않으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