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리와 함께한 화요일
미치 앨봄 지음, 공경희 옮김 / 세종(세종서적) / 1999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루게릭 병에 걸려 죽음을 앞두고 있는 모리교수. 스포츠 칼럼니스트이자 모리교수인 제자 미츠. 미츠는 어느 날 TV를 통해 모리교수의 소식을 듣고 찾아가 뵙는다. 이 책은 이 둘의 만남과 강의를 통해 삶과 죽음의 의미를 되새기고 있다. 지금 자신이 살아가고 있는 모습을 한번쯤 뒤돌아보게 만드는 이책은 한마디로 마음의 문을 열고 타인을 받아들일 수 있는 마음의 자세를 갖기를 바란다는 메시지로 요약될 수 있겠다. 그런 그의 삶의 아포리즘은 다음과 같은 옛 강의 내용에서 강렬하게 전달된다.

눈을 감고 자신의 짝을 믿으며 뒤로 넘어지는 행위. 대부분의 학생은 쉽게 뒤로 넘어가지 못한다. 눈을 뜨고 주춤거리며 뒤로 넘어가려다 돌아서버리거나 엉거주춤 발로 버틴다. 그러던 중 한 학생이 지긋이 눈은 감은 상태에서 그대로 뒤로 넘어지고 그녀의 짝은 그녀가 땅에 부딪히기 전에 머리를 잡아 일으켜 준다. 모리 교수는 바로 이 순간이 삶의 진실된 순간임을 강의한다. 남을 온전히 믿고 그에게 의존할 수 있는 삶. 서로가 서로에게 믿음이 되고 사랑이 될 수 있는 삶. 돈과 명예, 권력을 쫓는 행위에선 절대 만족이란 있을 수 없으며 언제나 혼자일 수밖에 없는 삶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모리 교수의 가르침 또한 헛된 메아리가 될 공산이 크다. 절대적 자아만을 가르쳐 온 현대의 교육. 즉 자아의 정체성이란 절대적으로 자기 자신 속에서 찾아지는 것이지 관계속에서 찾아지는 것은 아니라고 세뇌되어 버린 현대인들에게 남을 온전히 믿는 다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닌 것이다. 이미 현대인들은 관계라는 루비콘 강을 건너버리고 독립된 개체의 땅에 살고 있는 것이다. 아마도 이런 땅으로부터의 탈출은 사랑에 의해서 가능하겠지만 어디 그런 사랑도 쉬운 세상이던가?

타인의 존재, 그리고 나의 존재라는 것이 아니 모든 만물이 서로 관계의 그물망속에 얽혀 있다고 아무리 주장해도 그리고 사랑만이 그들을 온전히 하나되게 할 수 있다고 말해줘도 그것이 가슴에 와 닿지 않는 세상이거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