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하영웅전설 1 - 여명편 은하영웅전설 1
다나카 요시키 지음, 윤덕주 옮김 / 서울문화사 / 2000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은하영웅전설 1> 2001년 1월 15일

SF 삼국지

SF소설이라는 게 대부분 재미만을 추구하고 있는 건 사실이다. 마광수 교수가 말하는 하수도 문화라는 측면에서 이 재미라는 것도 아주 중요하다. 그리고 재미라는 것 그 자체만으로도 충분히 그 의미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그 재미라는 것이 그야말로 유치한 구성과 설정에 있다면 정말 재미있다라고 말할 수 있는지는 재고해 봄직하다.

그런 측면에서 <은하영웅전설>은 삼국지만한 가치가 있다고 감히 말할 수 있다. 아니 재패니메이션의 한 획을 긋는 에반게리온이라고도 말할 수 있을련지 모르겠다. 은하제국과 동맹에서 각각 한명의 영웅이 탄생하게 되는데 그들이 영웅이 되는 과정이라든가 개인적 캐릭터의 차이는 단순한 대립차원을 넘어 여러가지 것을 생각하게 만든다.

영웅이라는 것은 개인적 의지에 의해서도 이루어지지만 구조적 압력에 의해 만들어지기도 한다는 점(삼국지의 유비). 그리고 영웅이라는 자신의 위치에 대해서도 자랑스러워 하기도 하지만 괴로워 하기도 한다는 점에서(에반게리온의 신지) 영웅이 갖는 의미를 되새겨보게 만든다.

또한 이런 캐릭터의 우수함 이외에도 우주로의 확정이 가져다 줄 수 있는 여러가지 문제점을 예리하게 파악하고 있다는 점도 보다 사실성을 높여주고 있다. 가령 자전, 공전 주기가 서로 다른 여러행성들간에 시간을 어떻게 정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설명은 다시 한번 지구라는 공간에 위치한 인간의 사고 개념의 유한정성을 생각하게끔한다.

아직 2편까지 밖에 읽지 않았음에도 이 책에 대해 흥분하고 있는 날 보고 있자니 과연 결말로 치닫는 과정에선 또 얼마나 책속으로 빠져들어갈지 상상이 간다.

<은하영웅전설 10> 2001년 3월 13일

민주공화정에 대한 찬가

이 소설은 많은 부분 에리히 프롬의 <자유로부터의 도피>에게 빚지고 있다. 독재자에게의 무조건적 복종이라는 심리상태는 결코 우리가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사람들은 앞에 나서서 또는 자유의지를 가지고 생활하는 것보다는 차라리 아무런 생각, 고민없이 그저 주어진대로 살아가고자 하는 측면이 있다는 것을 인정한다면 소설속의 얀 웬리라는 주인공의 고민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좀 더 살기좋은 전제정치제도와 살기 어려운 우민정치로 이어지는 민주공화정 중 당신은 어떤 길을 선택할 것인지가 소설을 이끌어가는 갈등상황이다.

로엔그람 왕조의 패도정치가 그 썩은 내를 더해가면서 라인하르트라는 새로운 독재자와 얀 웬리라는 민주공화정 지지자의 두 정부로 우주는 나누어진다. 라인하르트는 전쟁에 있어 천재적 수완을 발휘하고 덧붙여 민심도 사로잡는 카리스마를 가지고 있다. 반면 얀 웬리는 항상 인간적 고민에 둘러싸여 있는 고뇌하는 인간이지만 전략적 측면에선 라인하르트 못지않은 수완을 발휘해 명성을 얻는다. 특히 전쟁을 싫어하면서도 전쟁에 앞장서야하는 얀은 그야말로 모순속에 살아가는 인물로서 소설 속 주인공중 색다른 묘미를 준다. 우주는 라인하르트에 의해 평정되고 민주공화정의 싹은 얀의 희생으로 부활의 씨앗을 품는 것으로 소설은 끝을 맺는다.

소설은 계속해서 민주공화정이야말로 우리가 지켜나가야 할 정치제도라고 주장하지만 한편에선 우민정치로의 전락을 두려워하교, 또 진정한 지도자의 표상, 즉 왕도정치를 구현할 수 있는 독재자가 나온다면 그 정치를 무시할 수 없지 않는냐는 고민으로 시종일관하고 있다. 그리고 그 고민은 우리에게 지루한 관념으로 남는 것이 아니라 소설 속의 전투씬 만큼이나 절절하게 현재의 정치상황에 대해 돌아보게 만드는 성찰의 힘을 가져다주고 있다.

오랜만에 접해보는 재패니메이션이 가져다 주는 흥분을 느낄 수 있는 체온이 느껴지는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