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정일의 독서일기 범우 한국 문예 신서 79
장정일 지음 / 범우사 / 1994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세상에나, 장정일의 독서량은 도대체 어느 정도인거야? 책을 보고 있으면 평균 하루에 1권정도 읽어대는 그의 책에 대한 집착에 입을 다물지 못한다. 이렇게 읽다보면 내가 언제 무엇을 읽었는지 기억조차 하지 못할 터이다. 그러기에 자신의 기억을 위해서라도 독서일기장은 꼭 필요할 터.

이런 독서일기장은 개인적 기억창고이지만 다이제스트를 원하는 작금의 세대에게는 그야말로 단시간에 수십권의 책을 읽을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작가의 글 중 이런 세태에 대한 비난이 없지 않으나 그 자신의 책이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발맞추고 있음은 알고 있는지.

아마도 그 자신 또한 이런 모순된 점을 인정하고 슬쩍 변명을 늘어놓고 있다. 좋은 책이란 그 책을 읽음으로써 또 다른 좋은 책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책이다고 정의하고 있다. 즉 자신의 책은 그런 좋은 책을 수십권이나 가르쳐주고 있으니 얼마나 좋은 책이냐고... 아무튼 이 일기장을 보면서 장정일이 갖고 있는 소설에 대한 생각을 읽을 수 있게 된건 행운이라고 볼 수 있겠다.

P128 소설이란 작중인물들의 존재이전이 드러나야 한다는 생각, 즉 주인공의 인생유전을 다루는게 문학이다는 생각은 많은 생각거리를 가져다 준다. 특히 구조에 의한 유전이 아니라 개인의 의지를 통한 유전이 보다 좋은 소설이라고 말한 점은 전자가 학문적 측면에서 다루어져야 할 문제라고 볼 때 적절한 정의라고 생각한다. 그렇기에 이 책이 어떤 문학적 소양을 지니고 있다고는 보지 않지만 1993년과 1994년 사이의 장정일에게 어떤 변화가 있었을까를 생각해보는 재미를 가져다 준다.

무엇보다도 일기장 속에 드러난 여러 읽을거리중 나도 몇권 읽어야 되겠다고 추려놓은 책들이 있다는 점에서 이 책의 가치는 어느정도 평가되어질 수 있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