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올논어 1
김용옥(도올) 지음 / 통나무 / 2000년 10월
평점 :
절판


모든 것이 눈깜짝할 사이에 변해버리는 첨단의 시대, 컴퓨터, 인터넷등 디지털이 지배하고 있는 시대에 고리타분한 공자라니. 그것도 TV속에서 살아난다는 것은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을 것이다. 그렇다면 과연 무엇이 공자를 다시 이 세상속으로 불러낸 것일까? 그리고 그렇게 살아난 공자는 이 시대에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을까?

<논어>라는 책 제목과 상관없이 내용은 공자의 생애에 대한 이야기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한 사건을 이해하기 위해선 그 시대 전반을 알고 있어야 하듯이 한 사상을 이해하기 위해선 그 사상가의 전반을 알아두는 것이 필요한 것인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이러한 생각은 책을 읽어나가면서 좀더 확신을 갖게된다. 그 사람의 일생과 따로 떨어진 그리고 그 시대적 상황과 결별된 생각이라는 것은 애시당초 가능한 것이 아니니까.

그래서인지 공자가 친근하게 다가온다. 지금의 언어로써 이해하는 논어가 아니라 공자가 직접 말하고 듣고 의심을 품고 사유하는 그 시대의 언어로 논어를 이해한다는 것은 정말이지 쾌쾌한 먼지속에서 향긋한 꽃냄새를 맡는 기분이다.

책은 전반부에 공자의 생애를 다루고 후반부에서 논어의 한 장인 학이편을 다루고 있다. 그 많은 논어중 비록 한 장만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다소 아쉬움이 남기는 하지만 성인의 생애와 그의 말씀이 일치되고 있음을 실감하게 된다는 점에서 책의 장점을 찾을 수 있으리라 본다.

학이편에서 다루는 이야기는 꽤 많지만 그것의 주된 생각은 바로 실천의 중요성이라고 여겨진다. 논어를 읽기전과 읽고 나서의 모습이 같다면 어찌 논어를 읽었다고 할 수 있겠는냐는 말에서부터 공부(學)라는 것은 실천을 행한 이후에 그 여력이 남았을 때 행해야 하는 것이라는 등. 학이편의 대부분은 바로 행함의 중요성을 설파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그리고 이러한 그의 중심생각은 자신의 일생전체를 되돌아봤을 때 어김없이 지켜져왔던 절대적 덕목이었으리라.

말이 난무하고 글이 범람하는 시대, 매체가 폭발함에 따라 늘어난 다양한 정보들은 그야말로 홍수 그 이상이다. 하지만 이러한 정보들, 글, 말들이 그 진정한 의미를 가질 수 있는 건, 그것을 찾던 사람들의 실천이 행해졌을 때만이 아닐련지. 입만 또는 손만 살아 숨쉬는 이 시대에 뜨거운 일침을 가하는 책이 아닐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