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입의 즐거움 - 개정판 매스터마인즈 1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지음, 이희재 옮김 / 해냄 / 2007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요즘 세간엔 느림에 대한 이야기가 유행이다. 그 유행의 끝을 좇아 책을 읽었음직도 하지만 이미 느려터질대로 느린 나에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하는 마음이 한가닥 있어 아직 접하지는 못했다. 막연히 노장사상의 흐름과 맞물려 집착으로부터 벗어나 여유를 갖고 때론 나태해져보는 것도 세상을 돌아볼 수 있는 좋은 방법중의 하나일 것이라고는 생각해본다.

이런 선입견을 갖고 바라본 느림에 대한 생각에 어찌보면 정반대에 서 있는 것이 몰입에 대한 즐거움이 아닌가 싶다. 물론 책을 읽어내려가다보면 꼭 정반대에 있다기보다는 오히려 바로 옆에 서 있는 동지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든다.

책의 내용을 한마디로 표현하자면(나에게는 항상 이런 한마디 표현이 책을 읽었다는 자족감을 주기때문에 자주 시도하는 습관임을 밝혀두면서) '피할 수 없는 것은 즐겨라' 정도일까?

하지만 그것보다는 차라리 게임에 지더라도 웃으면서 질수 있기를 당부하고 있다고 보면 되겠다. 내가 그 게임자체를 즐겼으니 승부자체가 무슨 상관이랴? 하는 정신. 그것을 당부하고 있는 것이다. 순간순간 그 결과에 상관없이, 아니 그 결과 자체를 생각도 하지말고 그냥 그것을 즐겨 몰입을 하다보면 그것이 바로 삶의 질을 한 층 높여줄 것이라는 주장이다. 비록 그것이 행복이라는 것과는 상관이 없다 하더라도 말이다.

어찌보면 행복이라는 감정도 자기연민이나 자기방어적인 수단으로 생겨난 조작된 것일 수도 있음을 상기한다면 결코 그것이 행복과 연관되지 않더라도 가치가 있는 행위가 될 것이라는 게 저자의 주장이다.

아무래도 그러한 마음가짐을 가지기 위해선 먼저 여유를 가질 수 있어야하겠고, 여유를 가질 수 있는 마음이란 느림에서 생길 수도 있다는 점에서 몰입과 느림은 이 시대의 새로운 가치를 형성할 수 있으리라 본다. 하지만 그것이 나태라고 하는 것과는 다르다는 것에서 함정에 빠져서는 안될 것 같다.

웃으면서 질 수 있다는 것, 웃으면서 진다는 것, 생각만 해도 날아갈 것 같은 기분이 든다. 어깨위를 짓누르는 현실의 무게를 이겨내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