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만에 시나리오 쓰기 - 친구 매스컬처 시리즈 1, 마음으로 영화 쓰는 법
비키 킹 지음, 이지영 옮김 / 동녘라이프(친구미디어) / 199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인생은 실천하는 것이다. 실천하는 것이 인생이다. 엎치나 매치나.

이것은 영화 뤽베송의 '서브웨이' 첫 장면에 등장하는 자막이다. 영화 속 주인공 렘브란트는 지하철이라는 공간 속에서 자신만의 밴드를 만들어 공연을 성사시키고 죽어간다. 밴드만들기. 그게 자신의 꿈이었으며 결국 그것을 해낸다.

시나리오 쓰기. 이건 나의 꿈이기도 하다. 대부분 호흡이 짧은 시나리오 몇편에 그쳐버리고 있지만 언젠가 장편에 꼭 도전하리라 생각하고 있다. 하지만 실천을 하지는 못한체 세월만 훌~훌~. 실천하지 못하는 삶, 아직 인생을 제대로 살고 있지 못한 것인가? 그런 차에 이 책을 접하게 됐고 과감히 지폐를 건넨 대가로 나의 안방에 이 책을 꽂아둘 수 있었다. 그리고 그 순간 나는 나의 인생을 찾아 길을 떠나게 됐다.

이 책의 장점은 바로 이곳에서 출발한다. 누군가 이 책을 읽었다면 바로 그 순간 벌써 시나리오는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책을 읽는 기간이 21일이 더 걸릴 수도 있다. 나의 게으름을 매일매일 탓하며 허송세월을 보낼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책에 관심을 가진 그 순간 나의 시나리오 작업은 벌써 진행되고 있었던 것이다.

책에 쓰여진 대로 그대로 따라하기는 힘들 것이다. 아마 책에 쓰여진 방식대로 사람들이 살아가고 행동할 수 있었다면 모든 사람들이 성공하고 모범적인 삶을 살아가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모든 사람들이 성공할 수 없듯 모든 사람들이 이 책을 읽고 21일만에 시나리오를 완성할 순 없으리라.

그러나 책을 집어든 순간 나는 벌써 한걸음 시나리오를 향해 내걸었으며 책에서 이야기하고 있듯이 일단 한줄 쓰여진 시나리오는 그 시나리오의 주인공들의 아우성에 의해 계속 쓰여져 나갈 수 있다.

책의 가장 큰 장점은 일상생활 속에서 부딪힐 수 있는 세세한 일에 대한 조언이라고 하겠지만 보다 더 큰 것은 시나리오라는 것이 생명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깨우쳐 준다는 것이다. 내 자신의 시나리오 속 캐릭터들이 살아 움직이고 있는 생명체임을 자각하는 그 순간 나의 시나리오 작업은 계속될 것이다. 그들이 자신의 제 목소리를 낼 수 있을 때까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