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 소년 22 - 정의의 시작, 완결
우라사와 나오키 지음, 서현아 옮김 / 학산문화사(만화) / 2007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해가 지면 어머니가 멀리서 부른다. 어서 집에 들어와 저녁 먹으라고. 아이는 배고픈줄도 모르고 놀았다. 어머니가 부르지 않았다면 아마 날 새는 줄도 모르고 놀지 모른다. 아이들의 놀이는 그렇게 끝이 없다.

아이들은 영웅 이야기를 좋아한다. 정의의 사도가 되어서 악당을 물리치는 꿈을 꾼다. 그런데 이 만화는 이런 꿈이 실제로 현실화 돼 지구멸망을 꿈꾸는 '친구'라는 조직과 그것을 막으려는 친구들의 싸움으로 펼쳐진다. 끝도 없이 말이다.

그런데 그 싸움의 밑바탕은 켄지라는 소꿉친구에게의 라이벌 의식과 어렸을 때의 트라우마로 인한 끈질긴 복수를 꿈꾼 '친구'의 장난에 다름아닌 것이었을지 모른다. 소위 뛰어난 재능을 갖고 있지만 왕따를 당한 아이의 복수가, 그리고 잘난 척 또는 친구들을 이끌었던 대장 녀석이 자기보다 못하다는 것을 알았을 때의 허무함이 사건을 이끄는 원동력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공상 또는 장난이 실제 현실에서 힘을 얻는데는 전적으로 어른들의 전체주의가 한몫한다. 자기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조차 전혀 인식하지 못하고 그저 흐름에 따라 또는 명령에 따라 흘러가버리는 것이다. '친구'라는 집단의 복수보다도 더욱 무서운 것은 이런 전체주의적 사회일지도 모른다. 그리고 이 전체주의는 공포심에서 더욱 집단화된다. 지구 멸망이라는 극단적 공포가 사람들의 이성을 마비시킨다. 그러나 한편으론 바이러스로 인한 인간의 감소가 지구를 살리는 길이라고 반응하는 집단도 나오고, 무엇인가 잘못됐다고 생각하면서도 저항하지 못하는 사람들도 있다. 어쩃든 모두가 전체주의에서 벗어나려는 동작을 취하지는 못한다.

배가 고프면 짜증이 나는 법이니까.

라는 말은 이런 인간의 모습을 잘 비쳐주는 말이 아닐까. 사람은 먹는 것에 의해 휘둘리기도 할만큼 위대하지 않을지도 모른다다. 하지만 배가 고프다고 해서 모든 게 달라지는 건 아니다. 배 고파도 잊고 무엇인가를 행한 경험이 있지 않은가. 그래도 배고픈 건 참기 힘들다. 그래서 사람들은 배고픔을 잊기 위해 때론 생각도 잊는다.

그래도 배고픔을 잊고 뭔가를 한 집단들이 바로 이 만화의 주인공들이다. 켄지를 비롯한 이 집단은 실제론 겁이 많다. 그러나 이 겁이 바로 강함을 증명하는 것이라고 만화 속 주인공 신령님은 말한다.

강하다는 것은 약함을 아는 것
약하다는 것은 겁을 내는 것
겁을 내는 것은 소중한 것을 가지고 있다는 것
소중한 것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강하다는 것이지

그렇다고 해서 '친구'라는 악당도 맘 편했을까.

악당이 되는 건 힘들어. 정의의 사도가 되는 게 훨씬 편하다고

실은 그럴지도 모른다. 악과 선이 모호할 때는 더욱 그럴 수도 있다. 지구멸망이라는 그의 꿈은 어렸을 적 장난이 계속된 것 뿐이다. 그 장난은 앞에 말했듯 복수심이나 트라우마에서 비롯된 아픔의 표현일지도 모른다.  만화 속 오쵸는

뭐가 악이고 뭐가 선인지 확실히 말할 수 있는 것은 모든 원인은 우리에게 있다는 정도다 라고 말한다.

그렇다면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

절망을 이길 방법은 없다. 단지 걸어나갈 뿐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마스테~♡ 2010-01-15 13: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라사와 나오키팬이라....그의 만화책은 모두 즐겨보고 소장하고 있습니다.
하루살이 님은 만화책 후기도 철학적이셔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