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유 - 제120회 나오키상 수상작
미야베 미유키 지음 / 청어람미디어 / 200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0년전 일본 상황을 배경으로 쓰여진 이 소설은 한국적 상황과 다를듯 하면서도 묘하게 닮아 있는 구석이 있다. 거품경제가 막 터지기 직전의 풍요가 거품이 터지면서 어떻게 가족(사회가 아닌)을 변화시키고 몰락시키는지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 과거 IMF시절은 물론 현재 거품을 이야기하는 한국을 연상시키기 때문이다.

사건은 이렇다. 지금으로 말하자면 주상복합 또는 유명브랜드 건설회사의 아파트에서 한 가족 4명이 죽는 사건이 발생한다. 화자는 이 사건과 관계된 사람들을 사건 이후부터 몇년 후까지 계속 인터뷰하면서 그 실상을 밝히려 한다. 이 과정에서 혈연으로 뭉쳐진 가족이란 것이 가족애가 아닌 억압의 굴레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도 하고, 반대로 혈연과 아무 상관없는 사람들이 한데 모여 가족처럼 지낼 수도 있다는 신가족형태를 보여준다. 즉, 이 소설은 가족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 셈이다. 그래서 실제 원서도 그럴진 모르겠지만 번역서에는 대상을 개인이 아닌 ㅇㅇㅇ가(家)로 표현하는 경우가 곳곳에 비친다.

나는 부모랑 사는 게 훨씬 더 힘들었어요. 자식이라는 이유만으로 영문도 모른 채 부모한테 이러저리 끌려 다니고. 타인하고 살았다면 꼭 필요한 최소한의 규칙만 지키면 되니까 오히려 간편하잖아요. 414쪽

애초에 가족이 싫어서 가출했는데 스나카와 씨들이 가족처럼 기대려고 하니까 화가 나고 두려웠던 거야. 이대로 스나카와 씨들한테 붙들리는 것은 아닌가 하고. 573쪽

이상한 일이다. 집안의 굴레에서 벗어나 한 개인으로 자립하고자 갈망하고 노력하는 것이 여자들일 터인데, 한편으로는 애오라지 혈연과 모자지간이라는 관계 속으로 회귀하려고 하는 것도 역시 여자들 뿐이다. 남자들은 ... 그저 도망치기만 할 뿐이다. 574쪽

야시로 유지에게 부모란 나를 지배하고 나의 자유를 빼앗으려고 하는 섬뜩한 괴물이었겠지요. 친부모뿐만 아니라 부모같은 자리에 있는 존재라면 다 그랬을 겁니다. 631쪽

가족이니 핏줄이니 하는 것은 누구한테나 번거롭고 신경이 쓰이는 것이야. 그런데 실제로 그런 것들을 싹둑 잘라내 버리고 살아가려고 하는 사람들도 있었구나. 하지만 실패했잖아. 그래, 실패했지, 그 사람들은. 652쪽

이렇게 가족이 구성되면 가족과 가족간의 관계는 또 어떻게 될까. 이 관계가 바로 사회의 모습일텐데 결국 소통의 부재와 배금주의에 물든 사회가 어떤 비극을 낳는지를 소설은 말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우리로 말하면 알박기와 비슷한 종류의 버티기꾼이 나타나게 된 배경도 이것에 있기 때문이다.

요즘은 이웃이란 의지가 되는 존재가 아니라 경계해야 할 대상입니다 서로 못본 체하고 사는 것이 딱 좋다고 봅니다. 126쪽

말씀드린 것처럼 우리 가족은 전에 이웃이 얼마나 무서운 것인지 실감했습니다. 이웃이 무섭다는 것은 곧 세상이 무섭다는 것이고, 결국은 커뮤니티 자체가 무섭다는 겁니다. 그러니까 언제 무슨 일이 일어난대도 이상할 것이 없지요. 129쪽

저 안에 사는 사람들은 당연히 갑부들이고 세련되고 교양도 있고 옛날 일본인의 감각으로는 상ㅅ강도 못할 생활을 하고 있을 거라고. 하지만 그건 어쩌면 가짜인지도 몰라요... 일본이라는 나라 전체가 거기에 다다르기까지는 얇은 껍데기 바로 밑에는 예존의 생활 감각이 그대로 남아 있는 것 같은 위태로운 연극이 아직은 한참 동안 계속되지 않을까요. 493쪽

저런 곳에 살면 사람이 못쓰게 돼요. 사람이 건물의 품격에 장단을 맞추려고 영 이상하게 돼버리는 거 같아요. 494쪽

나는 당신이 유방암에 걸리면 일본 최고의 명의한테 진료 받게 해줄 수 있다. 그런 연줄을 쥐고 있다. 그런 힘이 있는 인맥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식입니다. 이런 것이 남자들이 좋아하는 동화 아닐까요. 262쪽

그런데 가족은 이렇게도 우울한 것일까.

여성들은 이런 부분에서 취향이 맞으면 자본주의자와 공산주의자라도 같이 살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여인들에게 가족이란 함께 사는 사람들이었다. 441쪽

소설 속에 드러나는 가족이 모두 불행한 것만은 아니다. 서로 이해하고 아끼고 도와주고 버팀목이 되어주는 가족도 있다. 다만 그 형태는 꼭 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어도 가능하다. 그리고 이런 가정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냐가 결국 나의 정체성을 말해주고 있는 것일지도 모른다.

사람을 사람으로 존재하게 하는 것은 과거라는 것을 야스타카는 깨달았다. 이 과거는 경력이나 생활 이력 같은 표층적인 것이 아니다. 피의 연결이다. 당신은 어디서 태어나 누구 손에 자랐는가. 누구와 함께 자랐는가. 그것이 과거이며, 그것이 인간을 2차원에서 3차원으로 만든다. 그래야 비로소 존재하는 것이다. 과거를 잘라낸 인간은 거의 그림자나 다를 게 없다. 본체는 잘려버린 과거와 함께 어디론가 사라져버릴 것이다. 553쪽

그러기에 오히려 새로운 가족과 사회가 탄생할 수 있을지도 모르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