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사파 파월은 우사인 볼트가 올해 세계기록을 세우기 전까지 세계기록 보유자였다. 2005년 9.77초로 세계기록을 작성한 후 2007년 9.74초로 다시 경신했다.
파월은 190센티미터의 키에 88키로그램의 건장한 체구를 가지고 있다. 보통 100m는 긴 보폭 또는 빠른 주법 중의 하나를 가지고 속도를 올린다. 그래서 대부분 큰 키를 가진 선수들은 긴 보폭을 이용하는 주법을 사용한다. 그런데 파월은 키가 크면서도 긴 보폭과 함께 빠른 보폭까지 사용함으로써 세계기록을 작성할 수 있었다.
파월을 다룬 다큐멘터리에서는 138개의 자기공명영상촬영을 통해 파월의 근육을 분석했다. 배 속의 근육이 다른 선수들의 두 배에 가깝기 때문에 출발때 굉장한 스피드를 낼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그런데 이 다큐멘터리를 다 찍고 나서 볼트가 세계 기록을 다시 세웠다. 그는 파월보다 키가 6센티미터나 더 크다. 아마 다큐멘터리를 찍고 나서 제작진은 파월을 다시 분석해야 하지 않을까 고심했을듯 하다)
그런데 파월의 경기 장면을 보면서 한가지 의문이 들었다. 100m 달리기는 단순히 기록경기이기만 한 것일까.
파월은 “세계 기록 보유자라는 건 늘 이겨야 한다는 걸 의미한다”며 1위에 대한 강박관념을 가지고 있다. 그가 세계기록을 달성한 대회는 가이나 볼트와 같은 막강한 경쟁자가 참여하지 않은 경기였다. 반면 자신과 막상막하의 실력을 갖춘 선수와 같이 뛸 때는 기록이 저조했다. 이것은 파월이 이들보다 앞서야 한다는 생각에 자신과 같은 위치에 또는 한발이라도 앞선 선수가 눈에 보이기 시작하면 심리적으로 무너져 몸의 균형이 깨지면서 긴 보폭과 빠른 주법이 통합되지 못하고 보폭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과연 100m 경주라는 것이 기록경주라고 할 수 있는 것일까.
이번 베이징 올림픽에서 한국 여자 양궁 개인전은 7연패를 달성하지 못했다. 박성현조차도 결승에서 8점을 연거푸 두번 쏠만큼 아무래도 평상심을 무너뜨리는 강박관념도 패인의 원인 중 하나일 것이다. 그러니 오히려 잘 된 일일지도 모른다. 세계 정상이라는 굴레에서 이제 벗어날 수 있을 테니까. 그래서 보다 자유로운 마음으로 편안한 상태에서 시위를 당길 수 있을 것이다.
다시 육상 100m로 돌아와서 16일 밤 치러지는 베이징 올림픽 육상 경기에서의 재미있는 관전포인트로는 파월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9.7초대의 사나이 세 명이 격돌하는 이번 대회에서 과연 신체적 탁월함을 바탕으로 경주에 나서는 파월이 이번엔 심리적 압박을 이겨내고 평상심으로 달릴 수 있을까. 아니면 100m를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았으면서도 세계 기록을 달성한 볼트가 앞설까. 세상에서 가장 빠른 주법을 구사하는 가이가 세상을 놀라게 할까. 숨막히는 10초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