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조절장치라는 게 있다. 에어콘의 작동이라든가, 다리미의 열 조절 등은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도와주는 자동조절장치 덕분이다. 인간의 감정도 이런 자동조절장치가 작동한다고 한다. 희노애락의 급격한 변화가 주는 감동의 물결은 평균 2년 정도면 평소와 다름없는 상태로 되돌아온다는 것이다. 애인을 잃은 슬픔도, 아이를 얻은 기쁨도 기껏해야 2년이라는 의미도 된다. (직장을 잃는 것이 가장 강도가 세서 5년 정도의 시간이 지나야 충격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고 한다)

미국에서 영웅으로 떠오르고 있는 더스틴이라는 청년이 화제다. 어렸을 적 병으로 팔다리를 모두 잃었다. 그래서 토르소맨으로 불리운다. 그런데 이 청년이 레슬링을 한다. 그리고 올해 처음으로 주대표를 뽑는 대회에서 3위에 입상, 꿈에 그리던 대표가 됐다. 팔다리가 없는 몸뚱아리만으로도 레슬링이 가능하다는 것조차도 놀라운데 일반인을 뛰어넘는 실력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은 더욱 놀라운 일이다. (실제 다큐멘터리를 보면서 더스틴보다도 더스틴과 경기를 했던 상대선수들에게도 관심이 쏠렸다. 더스틴과의 경기에서 지고 난뒤 고개를 숙이고 있는 그들의 모습이 왠지 더 안타까워보인 것이 무엇때문이었을까. 그들은 혹시 다른 패배보다도 더욱 큰 쓰라림을 맛본 것은 아니었을까)

더스틴이 이정도 성과를 올리기까지는 주위 사람들의 도움이 큰 힘이 됐다. 그를 가르치는 코치는 자신의 가족과 함께 더스틴을 생활하도록 해주고, 트레이닝 코치, 그리고 여자친구, 무엇보다도 빼놓을 수 없는 부모의 도움으로 그는 밝은 모습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 특히 아버지는 그가 팔다리를 잃은 후 절망에서 빠져나오는데 큰 힘이 됐다. 팔다리가 없다고 남에게 의지하지 말고 스스로 모든 것을 해결하도록 독려했던 것이다.

더스틴이 레슬링을 시작하면서 코치는 다른 선수들에게 이런 이야기를 전했다. 더스틴이 고등학교를 졸업할 때쯤이면 우리 팀 내에서 베스트 3안에 들 것이라고. 이렇게 확신했던 이유는 더스틴의 땀방울 때문이었다. 코치는 더스틴이 연습한 후에 매트는 마치 작은 호수를 떠올린다고 했을 정도였다.

사람들은 현실에서 어려움에 부닥치면 쉽게 좌절한다. 하늘이 무너진 것처럼 절망 속에서 허우적거린다. 그리고 스스로를 체념의 감옥 속에 가둔다. 자신의 감정을 억제하지 못하고 극한의 선택을 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이런 감정의 기복마저도 우리의 몸은 자동조절장치로 제어한다. 체념이 더이상 길어지지 않도록 우리 몸은 스스로 힘을 만들어낸다. 스스로 감옥에 집어넣지 않았다면 말이다.

더스틴은 우리의 능력이 얼마나 위대한지를 직접 보여주고 있다. 누구나 더스틴처럼 될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더스틴이 누리는 행복은 가능할 수 있다. 마음 속에 희망을 잃지 않는다면 말이다. 주위에 사람들이 그 희망의 불꽃을 함께 지켜준다면 말이다. 하지만 때론 그 희망이 족쇄가 되어 그를 괴롭힐지도 모른다. 그러나 결국 희망은 얼굴에 미소를 짓게 해줄 것이다. 그렇게 믿고 살아가야 하는 게 운명이고 숙명일지도 모른다. 우리의 자동조절장치를 믿어보자. 그리고 수많은 땀방울의 힘도 믿어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