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게 영원회귀의 바다
다치바나 다카시 지음, 이규원 옮김, 스다 신타로 사진 / 청어람미디어 / 2006년 6월
평점 :
절판


이책은 다치바나 다카시가 아토스 반도의 수도원들을 둘러보며 회고한 여행기다. 역사라는 것이 기록된 것보다는 아무에게도 기억되지 않는 부분에서 진정한 삶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는 것을 깨우친 여행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이 돋보인다.   

눈으로 보여지는 역사적 잔해가 있음에도 기록되지 않았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천시되는 유적들이 실제 우리의 역사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는 생각은 역사에 대한 접근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를 생각하게 만든다.

이 책의 장점은 이것과 함께 다양한 인문학적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델피 신전을 통해 바라본 아폴론과 디오니소스와의 관계, 그리고 소크라테스의 '너 자신을 알라'가 갖는 의미 등등은 흥미진진하다. 델피 신전을 통해 세계 최고의 지성인이 될 것이라는 운명을 지녔다는 것에 대한 반발로 아무 것도 모른다는 전제하에 대화를 시도함으로써 변증법적 발전을 가져온 소크라테스의 이야기는 지식에 대한 근본적인 자세를 어떻게 가져야 할 것인지를 가르쳐준다.

또 그리스의 타 문화 지배가 제우스 신의 남근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프리아포스라는 신화 속 인물은 신화와 문화가 어떻게 통합이 이루어지는지를 살펴보게 만든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여행이란 주마간산이 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직접 몸으로 알려준다는 점이 이 책이 가진 최고의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내 두발로 걷기 시작하자 지칠줄 모르는 욕망을 품고 사는 것이 얼마나 어리석은 것인지 금방 알게 되었다. 그래, 느긋하게 가는 것이 최고다. 걷다보면 언젠가 목적지에 닿겠지 하는 마음으로 천천히 걸었다.

빨리 빨리 목적지만을 향해 걷다보면 놓치고 가는 것들이 많다. 일찍 정상에 오르면 일찍 내려서야만 한다. 오직 정상만을 알고 그 과정 속에 놓여진 바람과 새의 노래소리, 햇빛과 꽃들의 반짝임을 전혀 알지 못한다. 정상에 대한 끊임없는 욕망이 우리를 뒤틀리게 만든다.

사람의 욕망은 끝이 없다. 욕망에 끌려서 뜀박질을 시작하면 스스로 멈출 수 없게 된다. 욕망은 폭주로 치닫는 메커니즘을 내장한 듯하다. 모든 종교가 거의 예외없이 가르침의 앞머리에 행복으로 가는 지름길은 욕망을 다스리는데 있다고 설파하는 것도 예로부터 불행으로 가는 지름길이 욕망을 다스리지 못하게 되는데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천천히 걷자. 비록 내일 나의 운명이 끝을 맺더라도 천천히 걷자. 바삐 걸어간다고 해서, 죽기 전에 정상에 오른다고 해서 그것이 삶을 풍만하게 해 줄 수 있는 것인지 천천히 걸어가는 속에 생각해보자. 때론 잠시 발걸음을 멈추고 생각해보자. 삶은 누가 먼저 목적지에 도착하는 것보다 얼마나 많은 해찰을 통해 해탈을 경험하는 것에 그 참된 의미가 있지 않을까. 100미터 달리기 선수보다 술에 취해 비틀거리는 사람의 체온이 더욱 뜨거울 것이라는 상상은 그래서 여전히 매력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