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산쇠고기 수입과 맞물려 광우병을 둘러싸고 온나라가 들썩이고 있다.
이번 논란의 핵심은 미국산 쇠고기가 안전하냐에 있을 것이다. 30개월 이상 된 소와 함께 7개 위험부위에 대한 안정성 여부에 따라 문제 해결의 실마리도 달려있다고 하겠다. 그런데 안전하다는 쪽도 불안하다는 쪽도 정확한 과학적 근거를 내세우지 못하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광우병에 대한 정확한 원인과 그것이 인간에게 어떻게 전이되어 병을 일으키는지를 모르기 때문이다. 게다가 잠복기가 워낙 길어 정확한 인과관계 규명도 만만치 않을 것이다. 그러니 이젠 대놓고 정부에서도 먹기 싫으면 안먹으면 된다는 식의 발상까지도 할 수 있었던 것은 아닌가 생각된다.
그건 그렇다치고 아무튼 이런 핵심적 논란에서 조금 벗어난 이야기를 하고 싶다. 어차피 이 논란은 안정성 여부를 증명하지 못한다면 검역에 대한 믿음으로 해결하면 차선책일 수 있을테니까 말이다. 그런데 이 검역에 대해서도 현재는 믿음을 주지 못하고 있다는데서 문제의 심각성이 또 드러나게 된다.

아 또 하고싶은 말에서 벗어났다.
광우병의 발병은 동물사료와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는 것이 통설이다. 그런데 왜 축산업체는 동물사료를 소에게 먹이기 시작했을까. 값싸게 소를 피둥피둥 살찌울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의 원인은 고기에 대한 엄청난 소비로부터 시작된다. 싼값에 고기를 누구나 접할 수 있게되면서 고기 소비는 급증했다. 이 소비에 맞춘 공급을 위해 무차별적으로 축사가 들어서 소들이 자리를 잡았다. 그리고 이 소를 먹이기 위해 나무가 베어지고 곡물을 심기 시작했다. 그러나 곡물생산은 고기소비 증가를 따라잡기가 힘들다. 이때 나타난 동물사료는 손쉽게 넘어갈 수 있는 유혹이다. 소를 키우며 오염되는 물과 소 한마리를 키우는데 필요한 곡물과 토지를 위해 베어진 나무로 인한 온난화는 논외로 하자. 
귀족들이나 소수의 부자들만이 누리던 호사스러운 고기라는 음식이 일반 사람들도 쉽게 접할 수 있는 세상이 됐으니 그것마저 무시하지는 말자. 하지만 매일 고기를 먹는 습관으로 인해 성인병이 일반화되고 그로 인한 의료비도 엄청나다. (이 보험료만 아낀다 하더라도 농촌을 살릴 수 있는 보조금은 충분할지도 모른다.) 모든 사람이 누릴 수 있는 고기이기도 하지만 절제를 하는건 어떨까. 하루에 한번씩 먹었다면 사나흘에 한번씩, 사나흘에 한번씩 먹었다면 일주일에 한번씩, 일주일에 한번씩 먹었다면 한달에 한번씩...
특정한 기념일이나 공휴일등을 고기 먹는 날로 정해 특별한 음식으로 맛보는 것은 어떨까. 고기 소비의 감소가 우리 속에 사료먹는 소들을 방목으로 키울 수 있는 건강한 소로 만들어주진 않을까.

또하나.
일본처럼 1억이 넘는 소를 키우라기 보다는, 또 축산업자들에게 지급되는 일시처방인 보조금보다는 차라리 그 지원과 보조금으로 급식업체들의 원료를 한우로 하는 건 어떨까. 선택의 여지가 없는 곳에 보내지는 음식들에 있어서만은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방법을 택하는 것이 누이좋고 매부좋은 방법은 아닐까. 물론 이건 현재 FTA로 인해 어려운 방법이 되버렸지만 말이다.
소말고도 유기농을 통한 토지의 생명력을 회복하기 위해서라도 각 지방자치별로 인근에서 나는 유기농 채소와 소, 돼지 등을 학교나 군부대에서 납품받는다면 일정한 보급으로 인한 안정적 공급으로 농촌도 살고 국민건강도 지켜질 순 없는 것일까.

너무 답답해 정말 세상 물정 모르는 순진한 생각을 해봤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