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의 화원 1
이정명 지음 / 밀리언하우스 / 200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팩션의 재미는 상상력이 어느 부분에 개입하는가에 달려있다고 생각한다. 이 책 바람의 화원은 김홍도와 신윤복, 그리고 정향과 김조년이라는 네 인물이 주인공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신윤복의 경우엔 그의 역사적 기록이 거의 전무하다는 사실만으로도 이미 이 소설의 주인공임을 당당하게 말할 수 있다. 또한 그렇기 때문에 이 소설의 백미는 신윤복의 비밀이 밝혀지는 순간에 있다고 하겠다.

소설은 김홍도와 신윤복의 남겨진 그림을 해석하다 떠올린 상상이 그 밑바탕이 됐을 것이라고 추측한다. 김홍도의 황갈색 바탕의 담담하지만 힘찬 그림과 서민들과 남자의 힘찬 근육과 희망과 웃음이라는 반대편에 신윤복의 화려한 색채와 여인들의 알듯 모를듯한 심리가 충돌하고 어우러지면서 소설이 탄생할 수 있는 상상력을 자극했을 것이라 생각된다. 그림을 보는 것을 넘어 읽을 줄 몰랐다면 전혀 이야기는 성립될 수 없다. 그리고 이 그림을 읽는 재미가 소설의 재미를 한 층 더해준다.

게다가 정조가 조연으로 나타나면서 10년전 벌어진 살인사건을 해결해야 하는 상황까지 놓여진다. 그리고 그 살인사건에 대한 진범을 찾는 과정은 소설 속 모든 인물들을 하나로 엮어낸다. 그 과정이 씨줄과 날줄이 되어 잘 짜여져 있다는 것이 이 소설의 또다른 매력이다.

그렇지만 이런 매력들을 일일히 말할 수 없다는 것이 안타깝다. 소설이 밝히고 있는 비밀들을 발설하는 것은 소설의 재미를 반감시킬 것이 명약관화하다. 하지만 이 비밀을 말하지 않고서는 또한 리뷰를 쓴다는 것도 개인적으론 불가능하다.

그래서 이 소설을 이야기하는 것은 포기한다. 다만 바람의 화원이라는 제목이 말하듯이 바람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한다.

바람은 눈에 보이지 않지만 그 존재가 없다고 말할 수 없다. 가지가 흔들리는 것을 통해 바람의 존재는 증명된다. 불교의 선문답이 문득 생각난다. 이병헌이 주연으로 출연했던 영화 [달콤한 인생]에서도 나온 그 선문답말이다.

저것은 가지가 흔들리는 것입니까, 바람이 흔들리는 것입니까.

아니다 그것은 너의 마음이 흔들리고 있는 것이니라.

한번쯤 이런 경험을 해봤는지 모르겠다. 혹 금강산도 식후경이라는 것도 이런 의미로 쓰일지도 모르겠다. 아무리 아름다운 모습의 여인이나 풍경을 보더라도 나에게 근심이 있거나 다른 것에 신경을 쓰고 있다면 눈에 들어오지 않는다. 가령 단풍구경 갔으나 화장실이 너무 급한 상황이라면 울긋불긋한 색의 향연은 눈에 들어오지 않고 화장실 표지만 찾는 것처럼 말이다. 여행을 갔는데 갑자기 누군가 위독하다는 전화를 받는다면...

아름답다는 느낌은 마음에 있다. 바람이든 가지든 그 흔들림도 마음에 있다. 마음이란 관심의 다른 이름이다. 특히 그것이 추한 것이 아니라 다름아닌 아름답다라고 한다면 그것은 마음을 넘어 사랑을 전제로 한다. 바람은 왔다가 사라진다. 바람이 가져다주는 것은 봄날의 꽃일 수도 있고, 나뭇잎들의 속삭임일수도 있다. 그 꽃도 나뭇잎도 시간이 지나면 질 것이다. 그래서 더욱 간절히 아름다움의 빛을 발하고 그 아름다움에 탐닉하고 싶어진다. 사라질 것에 대한 집착은 사랑에 대한 다른 이름이다. 그리고 그 사랑이 있을 때만이 눈에 보여진다. 그 대상의 아름다움이 말이다. 겉으로 보여지는 것 이외에 감추어진 모든 것도 다 보여진다. 소설 속 김홍도와 신윤복이 그려낸 그림들이 그토록 아름다운 것도 사랑으로 대상을 대했기 때문이다. 그림 속 인물들의 감추어진 것들이 모두 드러나 있기 때문이다.

김홍도와 신윤복은 아름답다. 소설을 통해 되살아난 그들의 모습은 아름다움 그 자체다. 바람처럼 사라져버렸기에 더욱 아름답다. 이는 이들을 어느새 사랑하게 되었다는 고백이다. 소설은 두 인물을 살려내 사랑하도록 만들었다. 이것으로 소설은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두 인물의 숨겨진 것들을 보고 읽게 만들었기에 그들을 대하는 독자들은 두 화가와 사랑에 빠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