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드디어 5년 만에 <올드가드>가 돌아왔다. 불멸자 앤디(샤를리즈 테론)와 이를 따르는 불멸자 전사들이 중요 세계사적 사건에서 인류를 위해 힘써왔다는 이야기. 불멸자이기에 빠른 회복 능력(빠른 이라는 말로는 부족. 바로라는 말이 더 맞겠다)을 이용해 벌이는 액션이 돋보였다. 2020년 1편에 이어 2025년 2편이 7월 2일 넷플릭스에서 오픈됐다. 러닝타임 105분. 청불. 


2. 2편의 끝이 올드가드 영화의 끝이라면 대환장 파티다. 분명 3편이 나와야만 하는 결말. 그런데 이게 또 5년이 걸린다면 누가 이걸 기다릴지..... 2편을 본 입장에서 아무래도 3편도 함께 촬영되지 않았을까 추측될 정도. 차라리 이럴 거면 영화가 아니라 시리즈로 만드는 것이 나을 뻔했다. 솔직히 제작비 측면에서도 초반 액션 시퀀스 빼고는 그다지 큰 돈이 들어가 보이는 곳도 없다. 액션은 줄고 이야기는 길어졌다. 5점/10점 ★★☆      


3. 눈에 보이는 액션은 초반 총격신과 카레이싱 추격. 회복 능력이라는 초능력이 있기에 가능한 장면들이 돋보인다. 특히 자동차 충돌 장면은 압권. 하지만 이번 <올드가드2>편은 초반 화려했던 이 카레이싱 추격으로 액션은 끝이라고 봐야 한다. 중간 중간 결투 장면이 나오지만, 다른 액션 영화들과 큰 차별점은 없다. 총을 쏘면 될 것을 굳이 도끼나 칼 같은 재래식 무기를 사용해 무술을 시전하고 있다는 인상. 그렇다고 그 무술들이 개성이 강한 것도 아니다. 액션 측면에서만 본다면 초반은 강렬, 중후반은 지리멸렬.


4. 하지만 이야기는 길어졌다. 구구절절 불멸의 존재에 대한 설명이 이어진다. 최초의 불멸의 존재자와 최후의 불멸의 존재자가 등장한다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마녀사냥을 최초의 불멸자 디스코드(우마 서먼)와 앤디의 동반자 꾸인이 인류에 대한 배신감을 느끼는 사건으로 그린다. 이 사건으로 극도의 분노와 인류 멸절이라는 목표를 갖는다는 게 와 닿지는 않지만, 이야기의 전개는 다소 얼개를 갖추기 시작했다. 


5. 불멸의 존재에게 시간은 어떤 의미를 가질까. 시간의 소중함은 끝이 있음을 아는 이들에게만 느껴지는 걸까. 진시황 이래 인류는 불멸의 꿈을 꾸고 있지만, 정녕 불멸하게 된다면 인간은 진정 행복할 수 있을까. <올드가드>는 지금 이렇게 흐르고 있다고 느껴지는 시간이 어떤 의미와 가치를 지니고 있는지를 묻는다. 


6. <올드가드2>에서는 여러 나라의 도시들이 나온다. 특히 대한민국의 서울도 잠깐 등장해서 깜짝 놀라게 된다. 그런데 다른 도시들과 달리 서울의 랜드마크가 재래시장인지 아쉬움이 남는다. 이곳저곳의 한글 간판들만 보일 뿐 시장의 모습은 태국에서도 베트남에서도 중국에서도 볼 수 있는 풍경처럼 보이는데 말이다. 서울을 떠올리게 만드는 랜드마크가 무엇일까 고민하게 만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