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가 내린다. 꼭 소나기처럼 쏟아진다. 차로 2분 정도만 벗어나도 고요하다. 한정된 좁은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비가 내리는 경우가 많아졌다. 비가 왔다 그쳤다 지 멋대로다. 지금 내가 맞고 있는 이 비는 수만년 전 백두산의 호랑이가 맞았던 그 비이고, 임진왜란 때 큰 칼을 휘두르며 지휘했을 이순신 장군이 맞았을 그 비이며, 저 멀리 <사랑은 비를 타고>에 출연한 배우 진 켈리가 맞았을 비 일지도 모른다.
물은 순환한다. 태고적부터 존재했던 물은 그 장소를 달리하고 모습을 달리하며 지금까지 존재해왔다. 절대량의 변화가 거의 없이 땅 속에서, 강과 바다에서, 얼음으로, 또는 구름으로 모습을 변해가며 생명을 지켜줬다. 그런데 물의 순환이 점점 거칠어지고 있다. 지구 대기의 기온이 올라가면서 수증기의 발생량도 많아지고, 이로 인해 홍수가 자주 발생한다. 한 쪽에 홍수로 물 난리가 나면 물의 총량은 정해져 있기에 다른 쪽은 가뭄으로 곤란을 겪게 된다. 홍수와 가뭄 등 물의 격차가 점점 심해지고 있다. 지하수가 말라가면서 물 부족으로 생명의 위협을 느끼는 곳도 늘어난다. 물의 격차가 지구온난화의 위험을 경고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 물의 격차는 마치 인간 사회의 부의 격차와 닮아 보인다. 한정된 부를 나눠 갖는 인간 사회에서 이 부가 점점 한쪽으로 치우쳐 가고 있다. 부의 차이가 거의 발생하지 않았던 원시공산시대에서 개인의 소유가 등장하면서 격차가 발생하고, 자본주의라는 제도가 가져온 부의 확대 이면엔 상위 20%와 나머지 80%의 부가 비슷해지더니, 이젠 상위 1%의 부가 나머지 99%의 부와 맞먹는 지경에 이르렀다. 이런 빈부격차는 물의 격차처럼 생명을 위협하는 폭탄이 될지 모른다. 우리가 감당하고 감내할 수준을 넘어서는 순간 부의 격차가 가져올 재난이 상상이 가지 않는다.
머지않아 이 부의 격차가 건강은 물론 수명의 차이를 불러올 것이고, 이는 사회적 불안을 가중시킬 가능성이 크다. 탄소의 증가가 지구의 기온을 끌어올려 기후변화를 야기하듯, 경쟁의 극심화가 욕망을 끌어올려 부의 격차를 가져온 것은 아닐까 생각해 본다. 경쟁을 적절하게 억누르고 협동, 공생이 어우러지는 제도를 마련해야만 하는 때가 온 것은 아닐까. 우리가 탄소를 억제하고 친환경 기술을 연구하고 실용화 해 나가야 할 필요가 있듯이 우리 사회제도 또한 경쟁을 적절히 억제하고 공생의 기술을 연구하고 실용화 해야하지 않을까 싶다.
퍼붓는 빗줄기를 바라보며 공상에 잠겨본다. 올 한 해 홍수와 가뭄의 피해가 없기를 바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