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넷플릭스 영화 <i호스티지>. 25년 4월 18일 오픈. 네덜란드. 100분. 범죄. 스릴러. 2022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의 번화가 애플 매장에서 실제 일어났던 인질극 사건을 영화화. 과장하지 않고 꽤 실감나게. 하지만 사건이 지나고 나면 해프닝처럼,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그렇게 잊혀질까. ★★★ 6점/10점
2,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의 번화가. 애플 매장에는 많은 사람들이 있다. 그때 위장복(군복같은)을 입고 쇼핑백을 든 남자가 들어온다. 쇼핑백을 입구 근처에 내려놓고 손에 무엇인가를 들고 외치는데, 다름아닌 소총이다. 사람들은 혼비백산하고, 이 남자는 "엎드려"라는 자신의 말을 듣지 않는다며 화를 잔뜩 낸다. 웃옷을 벗으니 온 몸에 폭탄이 감겨 있다. 곧바로 경찰과 통화를 하며 협상가를 불러오라 한다. 그의 요구사항은 비트코인 2만 달러와 자유통행권. 과연 이 남자는 무엇 때문에 이런 인질극을 벌인 것일까.
3. 실제 네덜란드에서 일어났던 사건을 영화화 했다. 영화 속 장면은 실제 사건의 개요 그대로다. 범인과 인질이 됐던 사람들, 범행 장소에 있던 사람들의 대화는 각색되어졌을 듯하다. 영화는 반나절 사이 일어났던 일을 2시간이 안 된 시간으로 축약해 보여준다. 다소 망상에 사로잡힌 듯한 범인은 테러를 일으키려는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인질을 대하는 태도는 오히려 다소 인간적이다. 범인이 두른 폭탄이 진짜인지 가짜인지에 따라 이 상황에 대한 대처법이 달라질 텐데, 구분을 할 수 없다. 범행의 동기도 진짜 목적도 알 수가 없다. 영화는 사건의 진행을 과장 없이 다큐멘터리처럼 오히려 담담하게 보여준다. 관객 입장에선 이 담담함이 스릴을 더 끌어올리기도 하지만, 반대로 느슨하게 만들기도 한다. 결말을 알고 보느냐, 모르고 보느냐의 차이도 커 보인다.
4. 영화는 인질이 된 사람, 협상가, 경찰 등 다양한 인물들의 시선으로 사건을 보여주고 있다. 각자 다른 시각으로 사건을 바라보면서 입체감이 돋보인다. 반면 이 입체감은 한 두 명의 주인공에게의 감정 이입을 허락하지 않기에 몰입감을 다소 저해한다. 그럼에도 다양한 시선에서 사건을 마주치는 점은 장점으로 보여진다.
스포일러?
5. 범인의 죽음 이외 사망자도 부상자도 없이 사건이 정리되면서, 마치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던 것처럼 일상이 돌아오는 듯 보여진다. 하지만 살아남은 자의 눈물과 포옹은 그저 한 번 바람이 불었던 것이 아님을 알려준다. 마치 아무런 일이 일어나지 않은 것처럼 계엄을 말하는 이들에게 영화 <i호스티지>의 마지막 부분을 보여주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