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국 스릴러 영화. 24.10.16 개봉, 91분. 넷플릭스 시청 가능. 2009년 발간된 다카노 가즈아키 동명 소설 원작. 이 소설에서는 5개의 단편이 묶여 있는데 그 중 하나를 영화화한 것이다. 다카노 가즈아키는 2001년 <13계단>으로 에도가와 란포상, 2012년 <제노사이드>로 일본서점 대상을 수상한 작가이다. 개인적으로 <13계단> <제노사이드>를 굉장히 흥미진진하게 읽었던 기억이 있다. 하지만 이번 영화의 원작이 된 단편집은 아직 읽지 못했다. 운명을 알게 된다면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라는 흥미로운 주제임에도 영화는 이렇다 할 감동을 주지 못해 아쉽다. 6시간 후 죽는다면 과연 무엇을 할 것인가?라는 물음조차 힘을 잃고 만다. 5점/10점 ★★☆

 

2. 서른 살 생일을 하루 앞둔 정윤은 길에서 낯선 남자를 만난다. 준우라는 이 남자는 다짜고짜 "6시간 후 당신이 죽는다"라는 말도 안되는 소리를 지껄인다. 미친 사람의 소리라고 치부하고 친구와의 약속을 위해 이동하지만, 준우라는 남자의 또다른 예언처럼 약속은 어긋나고 만다. 다시 만나게 된 정윤에게서 자신의 죽음에 대한 예지에 대해 자초지종을 듣지만 쉽사리 믿지 못한다. 그래서 준우의 말처럼 자신을 죽일 것 같은 사람을 찾아, 즉 범인이 될 사람을 찾아 운명에 적극적으로 맞서기로 한다. 과연 정윤은 예고된 죽음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3. 예지력이라는 초능력과 살인이라는 범죄물의 만남. 초능력을 전제로 미래 예정된 사건의 범인을 쫓는 재미가 영화의 주된 초점이라 할 수 있겠다. 하지만 한정된 등장 인물과 예초 범인이라 여겼던 인물의 또다른 모습이 영화 중반 보여지면서 범인과 사건에 대한 예상은 그리 어렵지 않다. 왜 이 사건이 벌어지는지에 대한 추측까지도 가능할 정도다. 원작에서조차 이렇게 사건이 전개되는지 궁금하다.


4. 그럼에도 질문을 해 본다. 만약 6시간 후 죽음을 맞이할 운명이라면 나는 어떻게 삶을 마무리 지을 것인가. '왜 나를 죽이는거야?'라는 의문을 해소하기 위해 범인을 잡기 위한 행동에 나서기 보다는 이제는 더 이상 볼 수 없는 이들에게 "사랑해" "고마워"를 전하는 길을 택하지 않을까. 그러니 죽음 앞에서 그러지 말고 평소 이런 말을 많이 해 보는 것도 좋을 듯하다. 영화적 재미는 희미하지만, 영화와 상관없이 한 번쯤은 나에게 이런 질문을 해 보는 것도 나쁘진 않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