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플루토>는 넷플릭스 23년 10. 26 오픈 된 일본 애니메이션 8부작 작품이다. 2003년 공개된 <몬스터> <20세기 소년>의 작가 우라사와 나오키의 동명의 원작 만화가 있다. 이 원작의 원작은 데즈카 오사무의 <철완 아톰> 중 일부 편이다. SF. 스릴러라 할 수 있으며, 액션은 살짝 가미. SF 장르를 좋아하는 사람들에겐 강추. 한편으론 주제면에서 <신세기 에반게리온>을 떠오르게 하는 부분도 있다. 8~9점/10점


2. 세계 최강의 로봇 7인 중 하나인 스위스의 '몽블랑'이 처참하게 죽음을 당하는 사건이 발생한다. 몽블랑은 자연을 보존하고 생명을 사랑하는 존재로 많은 이들의 찬사를 받는 존재였기에 세상은 충격에 빠졌다. 그의 잔해에는 사슴뿔을 연상시키는 두 개의 막대가 놓여져 있다. 이어 '로봇은 사람을 죽일 수 없다'는 등의 내용을 담은 로봇법을 만든 사람과 대규모 학살 로봇이라 추측되는 '보라'를 검증했던 박사들도 사슴뿔이 남겨진 채 죽음에 내몰린다. '몽블랑'뿐만 아니라 다른 최강의 로봇들도 하나, 하나 죽어나가면서 세상은 혼돈에 빠지는 듯하다. 이 사건은 최강 로봇 7인 중 하나이기도 한 유로폴의 형사 게지히트가 맡는다. 이 연쇄살인(?)범은 누구이며, 그 목적은 무엇일까. 


3. 애니메이션 <플루토>는 로봇이 인간의 삶에 도움을 주고, 가장 발달한 로봇의 경우엔 인간과 구별이 어려울 정도로 발달된 미래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현재 AI의 경쟁을 통한 발전 속도와 AGI에 대한 기대감은 이런 로봇이 결코 공상이 아닐 것이라는 확신마저 주게 하고 있다. <플루토>가 보다 흥미진진한 것은 이런 현실감 덕분이라 할 수 있다. 아무튼 연쇄살인이라는 소재를 바탕으로 풀어나간 스릴러가 그 해결책을 찾아가는 과정이 아주 흥미진진하다. 


4. <플루토>에서 등장하는 지상 최강의 로봇은 모두 인간들의 사랑을 받는 존재다. 인간보다 더 인간적인 모습으로 인류를 위해 헌신하는 그들은 로봇의 이상향일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이보다 더 완전한 로봇 또는 인공지능은 없을까. 완전하다는 의미란 인간에 가까운 이라는 뜻일 것이다. 극 중 천재적인 박사는 이런 완벽한 로봇을 꿈꾼다. 하지만 이런 완벽한 로봇보다는 오히려 인간에게 사랑받는 로봇이란 존재가 더 인간의 꿈에 가까운 것일지도 모르겠다. 인간을 꼭 닮은 로봇이라면 인간이 일으키는 문제 또한 똑같이 만들어 낼 테니 말이다. 


5. '플루토'와 한 번 죽었다 다시 생명을 갖게 되는 '아톰'의 경우가 완벽에 가까운 로봇이라 할 수 있다. 애니 <플루토>에서는 99억 명의 인간을 모두 시뮬레이션 하고 이들을 분석해 가장 인간다운 로봇으로 태어나도록 프로그래밍 된 로봇이 좀처럼 깨어나지 못하는 상황을 보여준다. 아마도 완벽에 가까운 형상을 찾지 못하기 때문일 것이다. 이 로봇을 깨어나게 하는 방법은 인간의 일부 감정을 극한으로 치닫게 하는 것이다. 극 중에서는 특히 '증오'가 로봇을 깨우는 방편으로 사용된다. 


6. 인간의 감정은 한 두 가지가 아니다. 인간이 이성적인 동물이라고 아무리 강조해도 감정에 휘둘리는 존재이며, 감정이 없는 인간을 인간이라 부를 수 있을지 의문이 든다. 하지만 이 감정이 극한으로 치닫는다면 어떻게 될까. 우리가 그토록 소중히 여기는 사랑이라는 감정도 극한에 도달한다면 재앙이 될 수 있지 않을까. <플루토>를 비롯해 많은 작품들이 결국 사랑이나 가족을 이야기하지만, 아무리 좋은 것이라도 치우친 것은 위험한 것일지 모른다. 증오 또한 그 밑바탕엔 사랑의 감정이 있어야 생겨나는 감정이라 할 수 있다. 사랑 없이 증오가 발생할 수는 없지 않는가. 그렇기에 최상의 로봇이 인간으로 깨어나기 위해 필요한 것이 극한의 감정이라는 설정은 소름이 돋는다. 인간의 비극이 이 극한의 감정이라는 씨앗으로부터 맺어진 결실이 아닐까 해서다. 


7. AI와 로봇이 일상으로 점차 스며들기 시작하는 이때. 과연 인간이란 무엇인지를, 잘 만들어진 애니 <플루토>를 통해 이야기의 재미를 만끽하면서 고민해보는 것도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