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1007/pimg_7731841434454675.jpg)
1. 미국 스릴러 영화. 131분. 대의명분으로 포장한 부패가 도려내질 때의 쾌감. 화려하지 않아도 짧고 간결하게 화끈함을 선물하는 액션. 8점/10점(별 넷)
2. 사촌동생의 보석금을 내기 위해 한갓진 마을을 찾은 전직 해병대원 교관. 돈가방을 실은 채 자전거를 타고 가는데, 뒤에서 경찰차가 들이받는다.(그러기에 자전거를 탈 때는 외부 소리를 잘 들을 수 있도록 이어폰을 너무 크게 듣지 맙시다 ^^;;) 보석금을 포함해 자신의 미래를 위해 계획해 둔 자동차 살 돈까지 경찰에 뺏긴 주인공이 몸을 추스리고 경찰서로 돈을 찾아 나선다. 이래저래 합법적인 모양새로 돈을 가로챌 것 같은 지역 경찰들에게 협상을 시도하지만, 끝내 목숨까지 위협받으며 쫓겨난다. 이대로 물러나면 사촌동생의 목숨까지도 위험한 상황, 주짓수 해병대 교관으로서의 능력을 발휘해 부패한 세력들을 응징하러 나선다.
3. 꽤 그럴듯하게 현실에서도 벌어질 것만 같은 부패상을 보여 준다. 우리나라의 상황과는 다소 차이가 있지만, 어쨌든 자립이 힘들어 진 지자체가 예산을 마련하기 위해 법원과 경찰 등이 합세해서 아주 가벼운 범죄마저도 보석금을 지불하도록 만드는 방식으로 돈을 만들어낸다. 마을의 자립을 위해서라는 명분을 앞세우고 있기에 섣불리 대항하기도 쉽지 않다. 공권력이 작심하고 못된 짓을 꾸미면 당해 낼 재간이 좀처럼 없다. 다만 영화처럼 이 부패 세력에 대항할 수 있는 힘을 지녔다면 상황은 달라질 수도. 우린 이런 부패를 도려내는 칼날같은 사람이 되고 싶거나, 그들을 지지한다. 그래서 영화 <레블 리지>는 보통의 소시민들에게 통쾌함을 선물한다.
4. 부패한 권력에 도전하는 이들이 성공하기 위해선 조력자가 필요하다. 영화 속에서도 법원에서 일하는 조력자가 등장한다. 일종의 '두 번째 펭귄'이라고 할 수 있다. 첫 번째 펭귄이 위험을 무릅쓰고 먹이를 얻기 위해 물에 뛰어들 때, 이를 지켜보고 안전을 확인한 두 번째 펭귄이 물에 뛰어들면서 더 큰 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측면도 있지만, 이런 두 번째 펭귄으로 인해 나머지 무리들도 물에 뛰어들 용기를 얻을 수 있다. 일종의 임계치에 이르도록 만드는 도화선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사회의 변화는 첫 번째 도전자와 함께 두 번째 펭귄이 있어야 가능한 일이다. 영화 <레블 리지>에서도 조력자가 있음으로 인해 한 마을에 도사리고 있던 부패를 도려낼 수 있었다. 첫 번째 도전은 못할 지라도 두 번째 조력은 할 수 있는 용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