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가 지금과 같은 문명을 이루게 된 것은 인간의 욕망 때문일 것이다. 다른 동물들처럼 배고픔을 해결했다고 먹는 것을 멈추지 않고, 외부로부터의 위협을 피하면 그 뿐인 거처에 그치지 않고, 보다 더! 보다 더! 원하는 마음이 문명의 원동력이 되지 않았을까. 문자를 만들고 소통을 하며 대규모의 집단을 구성하고, 이야기를 만들어 행동을 이끌어 온 것도 모두 욕망이 작동해서라고 보여진다. 특히 권력에 대한 욕망이 한계 없는 기본적인 욕구와 맞물리면서 인류는 현재에 이른 것이 아닐까 싶다. 만약 인간이라는 속성이 다른 동물들처럼 기본적인 (생존)욕구를 채우면 멈출 줄 알았다면, 권력욕이 작동할 수 있는 영향력도 그리 크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멈출 줄 모르는 욕망과 욕구는 인간이 키우는 반려동물이나 가축에게까지도 영향을 미쳐, 소위 비만이라는 질병 등을 불러온다. 


이런 인간의 욕망은 시대의 변화와 함께 그 색깔도 변하고 있는 것처럼 보여진다. 생존에 대한 욕구와 권력욕을 넘어 취향이라는 이름으로 욕망은 세분화되고 다양해지고 있다. 마인드 마이너 송길영은 빅데이터를 통해 이렇게 변해가는 욕망의 흐름을 발견하고, 사람들이 무엇에 대해 결핍을 느끼는지를 밝혀 준다. 사람의 마음을 읽는다고 하지만, 실은 사람의 욕망을 읽는 셈이다. 그는 이렇게 다양해진 욕망의 변화를 긍정하고, 이 욕망의 실현을 위한 방법론을 제시한다. 물론 그는 모두가 자신의 욕망을 충족시키기 위해 타인의 욕망을 부정하거나 억압해서는 안된다는 전제를 안고 있는 듯하다. 


그가 바라보고 있는 욕망은 돈을 많이 벌겠다거나, 유명해지겠다는 재산이나 권력 등을 얻는 수집에 대한 욕망이라기 보다는,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시간을 들여 정성스럽고 깊게 파고드는 성취하는 욕망이다. 그 욕망을 통해 재산이나 권력은 자연스레 따라올 수도 있다. 이런 욕망은 지금의 시대가 그만큼 세분화되었기에 가능한 욕망들이다. 예를 들면 커피를 좋아하는 이들에겐 콜드브루와 더치커피 같은 추출법의 차이라든가, 아라비카, 로부스타, 수프리모, 블루마운틴 같은 원두의 종류 등등, 미세한 차이를 통한 맛의 차이에 민감하다. 커피에 대한 열정은 어떻게 하면 더 좋은-물론 개인에 따라 좋다라는 의미도 달라지겠지만- 커피를 선보일 수 있을지에 대한 공부와 관찰, 실험 등으로 이어질 것이며, 이 좋은 커피에 대한 욕망이 타인에게 공감을 불러와 팬덤을 형성하고, 누군가에게 꼭 필요한 사람으로서의 의미까지도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커피를 전혀 좋아하지 않는 이들에겐 믹스커피를 먹든 인스턴트 커피를 먹든, 원두커피를 먹든 별 차이가 없다. 그렇다고 해서 타인의 커피에 대한 욕망과 열정을 완전 무시하는 것은 아니다. 그저 자신에게 무의미한 것일 뿐이다. 모두에게 동일한 가치와 의미를 지닌 욕망이란 과거의 일일뿐, 이제 이런 거대 욕망을 찾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이런 세분화된 욕망의 실현은 일종의 과시욕의 하나일 수도 있으며, 여전히 이것은 권력욕의 다른 이름일 수도 있겠다. 


한편으론 욕망의 세분화와 다양화는 먹고 사는 것 이외에 자신의 무가치함을 덜어내고자 하는 의미에 대한 욕망인 것은 아닌지 생각해 본다. 그 의미에 대한 욕망을 자신이 이끌고 가는 것은 다행이지만, 그 욕망에 끄달린다면 인생은 괴로움으로 빠질 것이다. 의미나 가치가 사라져버리기에 말이다.(어찌보면 의미와 가치를 매기는 것이 바로 권력일지도 모른다) 그래서 욕망을 바라보는 다른 시선이 필요해 보인다. 욕망에 끄달리지 않는 즉 집착하지 않는 욕망의 자세 말이다. 불교가 인생을 고해라고 여기는 원인으로 말하고 있는 그 '집착' 말이다. 욕망이 욕망임을 자각하는 것. 그리고 그 욕망에 끄달리지 않는 것. 이것이 기본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현대인에게 욕망을 대하는 또 다른 삶의 길은 아닌 것인지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