쿵푸팬더 시리즈가 4편까지 이어졌다. 단언컨데 이는 '포'라는 주인공의 캐릭터 덕분일 것이다. 팬더가 주는 귀여움에 자신도 알지 못했던 쿵푸 능력을 쌓아가며 성장해가는 이야기가 사람들의 관심을 끌었다. 2008년 첫 편이 나왔을 때 465만명, 2011년 2편은 506만명, 2016년 3편은 398만명의 관객을 모았다. 하지만 8년 만에 나온 2024년 4편은 170만 명을 모으는데 그쳤다. 시리즈가 주는 피로함인지, 너무 오랜만이어서인지, 취향의 변화인지는 분석해볼 일일 것이다.
관객수가 줄어들긴 했지만, 피식피식 웃게 만드는 포의 활약상은 여전하다. 게다가 이번엔 자신의 후계자를 지명하고, 영적 지도자로 거듭나야 한다. 자신의 제자가 될 젠이라는 여우와 용의 전사로서의 마지막 전투는 어떻게 끝을 맺을까. 게다가 한 번도 가본 적이 없는 복잡하고 숨가쁜 도시에서 잘 적응할 수 있을까.
1. 씨앗을 뿌리는 자의 의무
사람들은 편안함을 추구한다. 아무래도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자 하는 본능 때문이지 않을까 싶다. 아무튼 이 편안함에 머무르는 안주는 어찌보면 안분지족의 삶을 살 수 있는 자양분이 될 수도 있지만, 반대로 점차 만족감은 줄어들고 정체 또는 퇴보하는 삶이 될 수도 있다.
포는 이제 용의 전사라는 이름을 내려놓고 후계자를 지목, 영적 지도자로 변화를 꾀할 시기가 됐다. 하지만 그는 여전히 '내면의 평화'가 '냉면의 평화'가 되는 먹탐어린 팬더다. 과연 그가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새로운 변화를 맞닥뜨릴 수 있을까. 제자라는 씨앗을 키워낼 수 있을까. 씨앗을 뿌리는 자는 현재에 머물지 않고 새로운 도전에 나서는 자이다. 씨앗을 키워내 수확을 거둘 때까지 보살필 줄 아는 지혜와 책임감을 지녀야 한다. 이는 어른이 된다는 또다른 이름이다. 씨앗을 품은 포가 어떻게 어른이 될 것인지 지켜보는 것도 재미가 있다.
2. 아전인수가 주는 웃음
요즘 정치권에서는 '문자 논란'이 거세다. 똑같은 문자를 보고서 그것을 해석하는 것은 천지차이다. 각자의 위치에서 자신에게 유리한 해석을 하는 아전인수가 판을 친다. 현 정권에서 특히 이런 일이 자주 발생하는 것은 왜일까. 아무튼 이런 아전인수 해석을 보며, 그것에 정답을 선언할 수 없다는 현실이 도리어 한글이 얼마나 어려운 문자인지를 실감케 한다.
영화 <쿵푸팬더4>에서도 주니퍼시의 지하 은신처의 범죄인 친구들이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면서 웃음을 자아낸다. '폭력을 멈추고 사건을 해결하자'는 이야기에 '폭력을 멈추고 나중에 더 큰 폭력으로 선물하자'고 해석하며 포 일행을 풀어주는 장면 등은 실소를 넘어 큰 웃음을 준다. 우리 정치권의 해석도 이와 같아 웃음을 준다면 다행이겠지만, 이런 해석이 정쟁을 낳고 있어 안타깝다. 아무튼 웃음을 주는 아전인수 해석이 현실을 은유하려는 목적이 아니었음에도, 대한민국의 현재를 떠올리게 만들어 쓴웃음도 함께 지을 수 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