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일상으로 스며든 시대이다. 알고리즘이라는 단어가 일상용어가 되고, 네비게이션 없이는 운전할 수 없을 정도의 세상이 되었다. 이미 AI는 생활 속으로 들어와 있었지만, 챗 GPT의 발표 이후 그 확장성에 놀라고 있는 중이다.
인공지능은 이제 범용인공지능의 발전으로 향하고, 이는 로봇과 합쳐져 소위 우리가 상상했던 사람과 닮은 로봇을 곁에 두고 살아갈 날도 머지 않은 듯하다. 그리고 이런 AI의 발달은 영화 <터미네이터>류의 상상을 자극하며, AI가 인간을 지배하는 세상이 올 줄도 모른다는 두려움과, 인류를 노동으로부터 해방시키는 지상낙원과 같은 두 극단적 미래를 그려내고 있다.
아마도 인공지능을 조력자로 하며 공존하는 시대로 흐르지 않을까 싶은 것이 개인적 예상이지만, 그러기 위해선 넘어야 할 산들이 많다.
가장 먼저 생각해두어야 할 점은 개발자를 포함해 그 누구도 현재의 인공지능이 어떻게 그 결과물을 내놓는지,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이다. 우리가 두려움을 느끼는 것은 대부분 무지에서 비롯되는데, 인공지능의 미래를 어둡게 바라보는 주 원인은 바로 이 산출 과정의 무지일 것이다. 그로 인해 인공지능이 어떤 선택을 할지 예측 불가 하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데에는 엄격한 기준이 필요하다. 우리가 현재 대량 살상무기를 가지고 있지만, 그중 화학무기를 사용하지 않는다는데 합의하고, 전쟁과 전투에서 화학무기를 사용하지 않는 것처럼, 인공지능의 사용에 있어서 우리에게 치명적인 분야의 사용은 전 지구적 합의가 필요한 부분일지도 모른다.
아무튼 이런 인공지능이 작동하는 과정의 무지가 인공지능의 행동이 가져올 결과물에 대한 예측불가능성으로 이어지면서 공포는 확산된다. 디스토피아적 미래를 그리는 영화의 대부분은 범용인공지능 로봇이 인간을 넘어 지구와 생명을 위한 선택으로 인간의 멸종을 선택한다고 상상한다. 인간의 노예로 살지 않겠다는 의지의 선택이 아니라 인간을 위한 선택으로 인간을 죽이는 행위를 한다는 것이다. 영화 <아틀라스> 또한 이런 선택을 하게 된 최초의 인공지능로봇 할리가 다른 로봇들을 프로그래밍하고 이들을 군대로 활용해 인간을 위협하는 존재로 그린다. 그 과정에서 할리와 어린 시절을 보냈던 아틀라스(제니퍼 로페즈)라는 분석가가 할리로부터 배신감을 느끼고, 그를 없애기 위해 성인이 되어서까지 외골수로 그를 분석한다. 그리고 그가 피신한 행성을 찾아 그를 없애기 위해 직접 출정하지만, 이내 다른 병력들은 전멸하고 혼자서 할리와 그의 군대를 상대하게 된다. 영화 <아틀라스>는 이 싸움을 (가끔씩 티가 나지만) 상상력 풍부한 CG로 꽤 재미있게 그려내고 있다. 영화 <퍼시픽림>이나 <아바타>와 같이 인간과 동조되는 로봇을 활용한 액션 장면이 흥미진진하다. 게다가 아틀라스는 할리의 배신으로 인공지능을 믿지 않지만, 할리와의 싸움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자신이 타고 있는 인공지능로봇과의 100% 동조를 허락해야만 하는 딜레마에 빠진다. 영화 <아틀라스>는 주인공 아틀라스가 과연 인공지능과의 동조를 허용할 것인지 그 과정을 지켜보는 재미와 할리와의 싸움이 큰 틀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그 틀은 예상 외로 흥미진진하다.
과연 우리의 미래에 인공지능은 우리의 적이 될 것인가, 친구가 될 것인가. 주변 친구나 가족들보다도 더 우리의 취향을 잘 아는 알고리즘을 생각해보면, 영화 <그녀>(her) 처럼 인간보다 더 인간적인 인공지능을 우리가 어떻게 대해야 할 것인지 상상만으로도 벅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