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가 여전히 낭만적인 이들을 위한 서사시

디즈니+ 의 16부작 <삼식이 삼촌>은 5.16 쿠데타라는 역사적 사건이 일어난 1950~1960년대를 배경으로 한 드라마다. 극 중 주인공 삼식이는 국민 모두가 하루 세 끼 모두 배부르게 먹을 수 있는 나라를 꿈꾼다. 그리고 이 원대한 꿈을 이루기 위해 그 꿈을 실현시킬 수 있을만한 인물인 김삼을 만나서 그를 지원한다. 그 과정에서 불법과 탈법은 아무렇지도 않게 자행된다. 과연 그의 꿈은 이루어질 수 있을까.    

1. 피자와 시루떡

<삼식이 삼촌>에서 나오는 음식 중에는 피자와 시루떡이 있다. 피자는 국민 대다수가 들어보지도 또는 먹어보지도 못했지만, 배부르고 맛있게 먹을 수 있는 꿈의 메뉴로 등장한다. 다른 한편으론 삼식이(송강호)가 자신의 꿈을 실현시켜 줄 사람으로 지원하게 되는 김삼(변요한)을 시루떡으로 표현한다. 시루떡을 만들기 위해서는 시간이 걸리지만, 보기엔 탐스럽지 않아도 먹으면 맛있는 메뉴다.

피자와 시루떡은 혼자 먹는 메뉴가 아니다. 여럿이 함께 나누어 먹는 메뉴다. 드라마 속에서는 같이 잘 살고 싶은 염원을 담은 소재라 할 수 있다. 이는 삼식이 삼촌이 꿈꾸는 세상과 닮아 있다. 그것이 피자가 되었든 시루떡이 되었든 배부르게 먹을 수만 있다면 더 이상 바랄게 없다. 

2. 지구의 자전과 공전

지구의 자전과 공전은 실제로 일어나고 있지만 우리에게 감각되지 않는다. 역사를 움직이는 힘도 마찬가지다. 삼식이 삼촌은 역사를 움직이는 것이 리더가 아니라 감추어진 힘, 즉 모략가들이라고 보는 듯하다. 그는 스스로 역사의 뒤편에서 작용하는 숨겨진 힘이라 생각하며, 세상을 변화시키고자 했다. 일반 대중들은 그 변화를 직접적으로 느끼지 못할지라도, 삼식이 삼촌은 이러한 배후의 움직임이 결국 역사를 바꾼다고 믿었다. 이는 우리가 지구의 자전과 공전을 느끼지 못하지만 그것이 실재하는 것처럼, 역사의 흐름도 그렇다는 것이다. 눈에 보이는 리더나 반대로 대중이 역사의 주체라는 시점과는 궤를 달리한다. 

3. 목적을 위한 수단

목적을 위해서는 어떤 수단을 강구해도 괜찮은 걸까. 삼식이 삼촌은 하루 세 끼 배부른 나라를 만들기 위해 불법과 탈법도 마다하지 않았다. 삼식이 삼촌의 방식은 목적 달성에 있어서 수단의 도덕적 정당성을 무시한 것이었다. 

배부른 나라를 위해 인권이 유린되고, 자유가 억압되었던 시절을 떠올리게 만든다. 목적을 이루었기에 그 과정도 모두 용인될 수 있을까. 


삼식이 삼촌의 재미는 현재와 과거를 오가는 편집에 있다. 군부에 의해 잡혀가 심문을 받는 삼식이와 김삼, 그리고 그의 동지들. 그들의 진술 중 엇갈리는 부분들이 나오고, 과연 누구의 말이 진실인지에 대한 의문이 커진다. 또한 이들은 왜 심문을 당하고 있는 것인지가 궁금하고, 심문 후 이들은 어떻게 될 것인지도 알고 싶어진다. 처음엔 이 시간을 왔다갔다 하는 편집이 상투적으로 느껴졌지만, 점점 진술이 엇갈려가면서 편집이 힘을 발휘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종말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과연 삼식이의 꿈은 이루어질 것인지, 그리고 그 꿈을 이루기 위해 희생되어진 것들이 그냥 잊혀지는 것이 맞는 것인지를 묻게 만든다.  


<삼식이 삼촌>은 지금의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해 희생되어진 것들, 그리고 앞으로 우리들이 꿈꾸는 대한민국을 위해 우리는 무엇을 희생시킬 것인지를 곰곰히 묻게 만든다. 정치가 권력을 다투는 싸움이지만, 결국 <원대한 꿈>을 이루는 과정임을 보여주는 <삼식이 삼촌>은 정치가 여전히 낭만적인 이들에게 다시 불리워질 이름일 듯하다. 이제 삼 시 세 끼 배부른 대한민국의 원대한 꿈은 무엇일지, 소위 이 시대의 삼식이 삼촌들에게 묻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