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올드보이]의 최민식은 최면에 걸려 행동했다. "누구냐 넌?" 이라는 전화 통화 속에서 오가는 말 하나로 인해 산낙지를 한입에 집어먹고 쓰러진다. 과연 최면이란 이토록 강렬하게 사람을 조종할 수 있는 것인가?
실제로 최면의 과정을 지켜봤다. 한겨울 감기처럼 최면도 누구나에게 다 통하는 것은 아니다. 개인차가 상당히 크게 작용한다. 하지만 영화 속 주인공처럼 강렬한 최면이 아니라면 최면은 누구에게나 걸릴 수 있는 현상이다.
최면치료사가 자신의 눈과 마주보기를 요구하다 어느 순간 최면을 건다. 최면에 걸린 당사자는 눈깜짝할 사이 자신이 최면에 걸렸다는 것을 쉽게 인정하지 못한다. 무엇보다도 자신의 의식이 100% 깨어 있다는 사실 때문에 최면상태에 대해 우습게 생각된다. 하지만 최면치료사가 "당신의 발은 땅에 접착제로 착 달라붙었습니다"라고 말하는 순간 더 이상 발을 움직일 수가 없다. 도대체 왜? 꼼짝도 못하는 것일까.
"움직일려고 마음 먹으면 움직일 수 있을것 같아요. 그런데요. 그 마음을 못 먹겠어요. 왠지 움직이면 안될 것 같은 마음이 들어요. 최면치료사가 저에게 움직이지 말라고 그랬잖아요. 그래서 움직이면 왠지 불안할 것 같아요. 정말이에요. 지금 당장이라도 마음만 먹으면 움직일 수 있다니까요."
"그럼 움직여봐요"라는 요구에 꼼짝도 못한다. 그런 자신의 처지가 우스운지 연방 웃는라 정신이 없다. 도대체 무엇때문에 마음 먹는 걸 거부하는 걸까.
그것의 정체는 불안감이라고 한다.
"자, 그럼 불안감을 먼저 없애봅시다. 마음을 편안하게 먹고 움직일 수 있다고 확신을 가지고, 자, 발을 한번 떼 보세요. 먼저 심호흡을 하고, 편안하다 생각하고..."
그제서야 최면에 걸린 사람이 발을 움직였다.
최면이란 그런 것이었다. 의지도 의식도 모두 깨어있지만 불안감으로 인해 의식과 의지대로 행동하지 못한 상태. 그렇다면 삶을 살아가는 우리는 과연 제 정신으로 살아가고 있는 것인가 하는 의문이 떠올랐다. 많은 사람들이 혹시 자기최면을 걸고 살아가고 있는 것은 아닐까.
"뭐, 마음만 먹으면 까짓거 할 수 있는데..."라며 주저하는 일들. 꿈이나 희망을 가슴에 품고 있으면서도 섣불리 행동으로 옮기지 못하는 이유 중의 하나는 혹 두려움 때문은 아니었을까. 지금 현재 내가 차지하고 있는 자리가 주는 편안함에서 벗어나 도전을 한다는 것은 첫째로 그 두려움과 맞서야 하는 일일지도 모른다. 그래서 스스로 최면을 건다. 나도 마음만 먹으면 할 수 있는데... 라며.
최면에서 깨어나자. 마음 속 두려움을 벗고 최면에서 깨어나보자. 심호흡을 한번 크게 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