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년 3월 26일 흐린 후 갬 2도~17도
봉두난발한 구기자를 정리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328/pimg_7731841433800802.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328/pimg_7731841433800803.jpg)
풀과 칡에 엉켜있는데다, 줄기가 제멋대로 자라 있던 것을 풀과 칡은 걷어내고, 줄기는 잘라서 정리한 것이다. 워낙 뒤엉켜 있던 것이라 구기자 한 그루를 정리하는데만도 꽤 시간이 걸렸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328/pimg_7731841433800808.jpg)
구기자를 자른 가지에는 이제 막 새순이 돋기 시작하고 있었다. 구기자잎은 차로도 마실 수 있고, 나물로도 먹을 수 있다. 잘린 가지에 달린 새순이 아까워 손으로 하나 하나 뜯어냈다. 하지만 인내심의 바닥. 너무 잎이 작다보니 품만 많이 들지 성과는 별로. 아쉬운데로 이 정도만 채취하고, 잎이 더 자라면 가지를 한 번 더 정리해서 잎을 수확하기로 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328/pimg_7731841433800818.jpg)
이번에 수확한 구기자잎은 찌개에 넣어 먹었다. 워낙 양이 작아서 풍미나 맛을 느끼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그래도 무언가 봄날을 먹는 듯한 기분은 만끽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328/pimg_7731841433800825.jpg)
이곳 저곳을 정리하면서 이번엔 멍석딸기를 모두 캐냈다. 별미로 먹어볼 심산으로 멍석딸기를 캐다 옮겨 심었는데, 오히려 잔가시 때문에 작업이 힘들고, 자꾸 찔려서 다치는 탓에 없애기로 한 것이다. 한 번이라도 맛을 봐야 했었는데.....
대신 멍석딸기를 없앤 자리에 오미자를 정리해서 몇 뿌리 캐내어 옮겨 심었다. 오미자를 유인할 지지대를 제대로 만들지도 못하고 자꾸 오미자를 옮겨 심어 아쉽기는 하지만, 오미자는 오미자대로 나름 잘 자라 줄 것이다. 올해는 오미자도 말려서 차로 먹을 수 있을만큼은 수확할 수 있다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