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정이]에 대한 호불호가 극명하다. [정이]를 비판하는 목소리 중 '신파'라는 부분이 가장 커 보인다. 연상호 감독은 오히려 이런 신파적 요소를 SF장르에 녹인 것이라는 취지의 인터뷰(정확히는 "눈물 흘릴  수 있는 고전적 멜로에 SF를 가미")를 한 것으로 안다. 신파적 요소라는 것이 무엇인지, 신파가 꼭 비판받아야 하는지는 좀 더 많은 대화가 오갈 필요가 있어 보인다. 아무튼 할리우드의 많은 작품들이 가족애를 다루지만 '신파라 별로다'라는 비판은 이제 벗어난 듯 보인다. 즉 신파라 하더라도 어떻게 다루느냐가 더 중요해 보이긴 하다. 최근 한국영화 [비상선언]의 경우에도 결말 부분이 신파적이라며 비판을 많이 받기도 했다. 신파적 감성을 어떻게 풀어내느냐는 영화의 성공과도 꽤나 밀접한 관계가 있어 보인다.


우리나라의 경우엔 가족애 중 하나라 할 수도 있는 모성애에 대한 천착이 유난히 크다할 수 있다. '엄마'라는 단어만 들어도 눈물이 글썽이는 사람들도 많다. 엄마의 자기 희생 때문일 것이다. 지금이야 엄마에 대한 요구가 예전과 조금씩 달라져 꼭 엄마와 자기 희생이 완벽하게 동의어이진 않지만 말이다. 물론 [82년생 김지영]은 이런 희생이 아직도 현재진행형이라고 말하고 있다. 아무튼 [정이] 또한 이런 경향을 내비치고 있는 듯하다. "엄마, 이젠 더 이상 자신을 희생하지 말고, 가족이라는 굴레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살아요."라고 응원하는 영화처럼 읽힌다. 


[정이]의 이야기는 이렇게 엄마를 응원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것을 표현하는 방식은 일종의 오마주일련지, 짜깁기 일련지 혼란스럽다. 영화 초반부 액션은 일본 애니메이션 [공각기동대]를, 정이가 전투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는 것은 톰 크루즈의 [엣지 오브 투모로우]를, 중후반 로봇들과 싸우는 장면은 윌 스미스의 [아이, 로봇]을 떠오르게 한다. 다만 이런 액션신의 CG가 무척이나 자연스럽다는 점에서는 박수를 보낸다. 반면 오히려 연구소장 김상훈(류경수)의 오버스러움과, 박사 윤서현(고 강수연)의 고풍스러움이 영화와 잘 녹아들지 못하는 느낌이다. 그렇기에 이런 부조화 속에서 김현주의 감정 묘사(로봇 얼굴을 통한 눈동자 만으로도)와 액션은 단연 돋보일 수밖에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