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 정원에서 생긴 일
온다 리쿠 지음, 오근영 옮김 / 노블마인 / 2007년 7월
평점 :
절판


책을 읽으면서도, 그리고 마지막 장을 덮으면서도 혼란스럽다. 도대체 소설 속 어디까지가 현실이고, 어디까지가 연극 대본인지를 알 수가 없다. 그래서 줄거리를 요약한다는 것도 쉽지가 않다.

소설은 크게 현실과 대본, 그리고 대본 속 연극(또는 극 중 극)이라는 세 가지 장소(?)에서 벌어지는 일이 뒤얽혀 있다. 현실에서는 빌딩 숲 사이 카페로 둘러싸인 광장에서 젊은 여자가 죽고, 극 중에선 극작가가 죽었다고 생각되어지지만 마지막 장을 덮고 나서는 이것마저도 확신할 수 없다. 각 장소에서 벌어진 사건들의 범인은 누구일까 곰곰히 쫓아가다보면 현실 속 범인과 극본 속 범인을 헷갈리게 된다. 아니 범인이 서로 상관관계를 맺으면서 극도의 혼란에 빠뜨린다. 그러니 줄거리를 요약해 보겠다는 생각은 포기한다. 다만 소설이 이야기하고 있는 사람과 세상의 관계에 대해서만 잠깐 이야기해보려 한다.

인생은 연극이라고 흔히들 말한다. 이때의 연극은 희노애락이 함께 녹아있는 터전이라는 뜻일테다. 그 속에서 웃고 울고있는 우리는 각자가 배우인 셈이다. 그런데 소설 속에선 말 그대로 우리의 삶이 연극이라고 말한다. 즉 우리는 각자 허구의 삶을 연기하며 살고 있는 배우이며, 인생은 바로 그런 허구들로 이루어진 연극이라는 것이다.

사람은 남들에게 보임으로써 예뻐진다. 여자만이 아니다. 남자도 그렇다. 사람은 타인의 시선에 의해 제2의 자신, 밖에서 본 자신이라는 존재를 완성해가는 것이다. 사람은 보이는 것, 연기하는 것에서 쾌감을 느낀다. 소설, 드라마, 게임. 전에 없을 정도로 허구가 소비되고 있는 이 시대. 자신을 허구 안의 등장인물로 간주하는 것이 큰 오락 가운데 하나가 된 것이다. 일찍이 그것은 은밀한 재미였다. 영화나 소설 속의 주인공에게 감정이입함으로써 사람들은 타인의 인생을 상상했다. 그러나 지금 사람들은 당당하게 타인이 되기를 원한다. 드라마 속의 주인공이 예전의 대스타에서 자신과 비슷한 타입의 사람으로 바뀌면서부터 자기도 히로인이 될 수 있다고 착각하기 시작한 것이다.(245쪽)

그래서 도시를 바라보면 상점이나 카페 등의 벽은 유리가 되어 서로 보이고 보는 것에 탐닉한다고 작가는 말한다.

자신을 연기하지 않는 사람은 이 세상에 없을 거예요., 자신에게 부여된 역할을 의식하고 집 안에서도 회사에서도 사회에서도 요구되는 모습을 연기하고 있지요. 그러니까 우리 배우는 당신들이기도 해요. (367쪽)

세상은 보여지고, 또 보는 것으로 관계되어진다. 그속에서 우리는 잘 보이기 위해 연기를 한다. 연기는 거짓이다.

인간은 누구나 거짓말을 하지요. 보신을 위해, 허영 때문에, 자존심 때문에. 무관심, 질투,회유, 자비, 상식, 변덕. 이 중 어떤 것이라도 거짓말을 할 이유가 되지 않겠습니까. 오히려 거짓말을 하지 않는 이유를 찾는 게 더 어려울 정도지요.(76쪽)

보여진다는 의식은 늘 허구를 갖고 있다. 내부 정원은 보는 자와 보여지는 자 쌍방에게 연기를 강요한다. (390쪽)

그렇다면 이렇게 거짓 연기로 이루어진 관계 속에서 타인에 대한 이해가 가능할까.

사람의 마음과, 뭔가를 달성하는 동기라는 건 도무지 이해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기껏해야 이렇지 않았을까 상상하거나 어거지로 끼워맞추거나 설명할 수 있는 말을 찾는 것이 고작입니다.(337쪽)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사람을 좋아하게 되는 경우도 있고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그 사람을 좋아하게 되는 경우도 있어. 사람의 마음이란 참 이상한 거지.(240쪽)

그래서 인생이란 어떤 모습일 것인가?

그토록 원했지만 가질 수 없는-그렇다, 지금 우리처럼. 그야, 현실이란 그런 게 아닌가. 대부분의 인생은 사람이 그렇게 오래도록 원하기만 하고 인생 쪽에서는 사람을 원하지 않는다.
(350쪽)

"내 속엔 내가 너무도 많아"라는 가삿말은 수많은 가면을 쓰고 있는 나를 표현하는 또다른 말일 것이다. 가면은 내가 서 있는 장소에 따라 바뀐다. 또 내가 지금 대면하고 있는 사람에 따라서도 바뀐다. 마치 중국 사천 지방 특유의 경극인 변검술을 익힌 사람들처럼 말이다. 난 절대 그렇지 않다고 부정할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 것인가. 아니 한명이라도 존재할 수 있으려나. 그래, 그 가면들을 인정한다면 세상은 또 타인은 어떻게 대해야 할 것인가. 거짓을 없애자고 칼을 휘둘러 허영과 그림자를 물베듯 베려 허우적대지 말고, 차라리 그 수많은 가면들을 인정하는 것은 어떨까. 비록 그것이 이해가능한 수준을 넘어설지라도 사람과 사람을 잇는 끈이 더욱 견고해질 수는 있지 않을까. 그리고 나를 향한 그 가면에 집착하지 않되 그 가면을 벗고 다른 가면을 쓰지 않도록, 그리고 나 또한 그 사람 또는 그 환경 앞에선 흐뜨러지지 않도록 최선을 다한다면 그것으로 족한 것은 아닐까. 가면을 쓰고 최대한 멋진 연기를 펼친다면 박수를 받으며 퇴장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