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피쉬 스토리
이사카 고타로 지음, 김소영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7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최근 읽은 일본 소설 중 가장 재미있게 읽었다. 이사카 코타로라는 작가 기억해야 겠다. 단숨에 읽게 만드는 힘은 어디에 있을까. 대부분 수수께끼를 풀어나가는 방식 그 자체의 재미와 함께 소설이 이야기하고 싶어하는 것에 대한 흥미 두 가지 모두를 잘 잡아나가고 있기 때문이지 않을까 싶다.
소설은 4개의 단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물원의 엔진, 새크리파이스, 피쉬스토리, 포테이토칩.
동물원의 엔진은 한밤중 동물원 늑대 우리 앞에서 엎드려 자고 있는 남자와 이를 지켜보는 세명의 남자들의 이야기다. 왜 이 남자는 늑대 우리 앞에서 자고 있을까 하는 의문에서부터 시작해 최근 일어난 시장 살인사건과 늑대의 우리 탈출이 얽혀 들어간다. 개인적으로 이 소설은 세상에 대한 냉소로 가득차 있다고 보여진다. 우리로 둘러싸인 세상, 또는 지금 자신이 살아가고 있는 환경이 바로 동물원 우리와 같다고 했을 때, 과연 이 우리로부터의 탈출은 유토피아일까. 소설은 탈출해봤자 별거없다고 말한다. 오히려 예상치못한 위험에 직면하거나 무기력증에 빠질 뿐이다. 이것은 늑대와 늑대 앞에 있는 남자가 말해주고 있다. 반면 우리 안에서 생활하는 것은 안전하면서도 그나마 달콤한 생활을 보장해 주는 것일까. 우리 앞 남자를 지켜보던 주인공을 포함한 세남자들이 우리 안의 생활 또한 별볼일 없다고 말해준다. 그럼 도대체 어쩌란 말인가. 그래서 작가는 말한다. 그래서 어쩌겠냐고.
그런데 세번째 소설 새크리파이스를 보면 또다른 느낌을 건넨다. 20여년전과 현재, 그리고 30여년 전과 10년 후. 과거와 미래의 시간을 오가며 세상이 어떻게 얽혀있는지를 보여준다. 노래 한 곡이 어떤 인연의 끈을 타고 흘러가 세상을 구하게 되는가 하는 사연이 정말 극적으로 펼쳐진다. 세상은 준비된 자의 뜻대로 이루어진다는 이야기다. 슈퍼영웅에 대한 이야기처럼 들리지만 평범한 사람이 세상을 구하게 된 이야기다. 그것도 아주 평범한 사건을 계기로. 그런데 작가의 시선이 흥미롭다. 세상을 구한다고? 그래서 뭐 어쩔건데라는 듯 소설 속 주인공을 바라보는 것 같다.
두번째 새크리파이스는 본업은 빈집털이범이면서 부업은 탐정인 구로사와라는 남자가 행방불명인 사람을 찾아 오지 마을에 들어가 벌어진 일을 다루고 있다. 옛날옛적 산적들로부터의 피탈을 피하고자 이루어졌던 이상한 풍습에 대한 이야기가 주를 이룬다. 풍습에 대한 작가의 시선이 따갑다.
풍습이란 건 다 그런 거 아니겠어. 무엇을 숨기려고 그럴싸한 이유를 갖다 붙이는 거지. 공포나 죄책감 같은 거 말이야. 그리고 욕망 같은 거. 그런거야. 그런 것들을 어영부영 얼버무리려고 풍습이라든가 설화라든가, 그런 게 생기는 거 아닐까.(74쪽)
정보라는 건 진실의 정도나 증거보다는 받아들이는 사람의 수요에 반응하는 거야.(130쪽)
소설을 읽고나면 세상에 존재하고 있는, 너무나 당연시받아들이고 있는 풍습 또는 제도에 회의적인 눈길을 보낸다. 정말 이것은 어떻게 해서 탄생했을까, 그리고 지금도 그것은 유효한가. 맹목적으로 살아가는 것, 그리고 회의하는 것, 세상은 어떻게 달라질까. 작가는 이런 것에서도 장난을 친다. 그래서 소설은 즐겁다.
마지막 단편 포테이토칩은 범상하지 않은 듯, 또는 약간 모자라는듯, 하지만 마음만은 너무나도 착한 빈집털이범에 대한 이야기다. 야구선수 오자키의 집을 털려다 문득 걸려온 전화를 받으면서 우연한 사건에 휘말리게 되는 이야기. 하지만 정작 이야기의 중심은 핏줄과 연관되어 있다. 하지만 이것을 바라보는 작가의 시선은 여유롭다. 콩소메맛을 먹고 싶었지만 무심코 집어먹은 소금맛 포테이토칩도 괜찮다고 깨닫는 주인공 여자친구 오니시의 심정과 똑같다.
절망으로 빠지지 않은 세상에 대한 냉소. 그렇다고 장밋빛 희망으로 넘쳐나 있는 것도 아니다. 세상은 그저 SO WHAT일뿐. 즐거울수도 슬플 수도 있다. 때론 절망 속에서 희망을 보기도 한다. 하지만 희망은 지속되지 않는다. 그래서 세상은 돌고 우리는 살아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