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년 7월 24일 22도~28도 비온 후 흐림
금화규 모종을 키워서 심은 것과 지난해 금화규를 심었던 곳에 씨앗이 떨어져 자연적으로 발아가 되어서 자란 금화규 간에는 성장의 차이가 보인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726/pimg_7731841433498116.jpg)
모종을 키워서 밭에 옮겨심는 것은 공간의 활용 측면에서 효율이 높다. 밭에 작물이 남아 있을 때 다른 곳에서 모종을 키운 후 밭이 비워졌을 때 옮겨 심음으로써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다. 또 하나는 시기의 조절이다. 적당히 자란 모종을 밭에 바로 옮겨심음으로써 수확시기도 앞당길 수 있는 것이다. 수확 시기를 앞당기는 것은 아무래도 수확물이 쏟아지는 시기를 피해 값을 더 잘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726/pimg_7731841433498117.jpg)
자연발생적으로 자란 금화규는 일종의 직파라고 할 수 있다. 즉 작물이 자랄 곳에 애당초 씨앗을 뿌려 싹을 틔워 자라게 하는 것이다. 하지만 모종을 키운 것 만큼의 시간에서 차이가 나 성장 속도가 뒤처진다. 올해 금화규의 경우엔 현재 키의 차이가 두 배 가량 나고 있다. 모종으로 키운 것은 허리께까지 자랐는데, 직파된 곳은 겨우 무릎을 넘어서고 있다. 그러다보니 꽃의 수도 차이가 난다. 모종을 심은 곳은 꽃이 한 창 피어나고 있지만, 직파된 곳은 가끔 꽃을 피워내고 있다. 더군다나 아직 키가 덜 자랐음에도 꽃을 피워내다보니, 성장이 더 더디게 되는 것 같다. 물론 직파의 장점도 있을 것이다. 옮겨심는 과정이 없어서 스트레스를 덜 받고 씨앗이 나고 자랄 때까지 한 곳에 있다보니 적응이 잘 되어 보다 건강하게 자랄 것이라 생각된다. 물론 이건 추론일 뿐이다. 실제 더 건강하게 자라고 있는지는 관찰해보아야 한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726/pimg_7731841433498118.jpg)
모종과 직파 간의 차이는 그렇다치고, 저절로 자란 금화규는 실제 도라지 씨앗을 심은 곳이었다. 풀은 물론이거니와 금화규에 묻혀서 어디서 자라고 있는지 조차 알 수 없게 된 도라지를 위해 풀을 제거해 주었다. 도라지도 키를 잘 키우면서 자라기 때문에 조금만 풀을 제거해줘도 풀을 이겨낼 힘을 갖게 된다. 도라지가 쑥쑥 자라면 풀 뽑을 일이 줄어드니, 얼른 얼른 자랐으면 좋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