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년 7월 18일 비 온 후 갬 21도~27도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719/pimg_7731841433489892.jpg)
장장 2주간이었다. 블루베리밭의 풀을 뽑아내는 작업이 마무리 됐다. 마음은 급했지만 속도는 더뎠다. 골 하나를 끝마치는데 평균 2시간이 걸렸다. 2시간 동안 풀을 뽑고 나면 손아귀가 얼얼하다. 몇일 계속하다보니 주먹을 쥐면 손목이 아플 정도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719/pimg_7731841433489893.jpg)
이렇게 뿌리째 뽑아버린 풀들은 다시 싹이 나서 자랄 때까지 시간이 걸린다. 처음 제초작업을 했던 골은 뿌리를 뽑는 대신 낫으로 베었는데, 뒤돌아보니 벌써 무릎 께다. 하지만 그 뒤에 뿌리를 뽑아놓은 골은 아직까지는 풀이 많이 보이질 않는다. 이제 겨우 한숨을 돌릴 여유가 생겼다.
그래도 갈 길은 멀다. 체리 밭의 망초는 이미 허리춤까지 자라 꽃을 활짝 피운 상태다. 체리밭은 풀을 뽑지 않고 벨 생각이다. 경사가 있는 곳이라 풀뿌리를 뽑아 버리면 큰 비에 흙이 쓸려내려갈 수 있어서다. 체리 밭의 풀베기를 포함해 고추와 깨를 심어 놓은 곳, 진입로, 옥수수 심은 곳, 개집 주위, 도라지 심은 곳 등등 여전히 풀을 제거해야 할 곳은 산더미처럼 남아 있다. 그래도 블루베리밭을 끝내 놓으니 한 숨을 돌린다.
한 줌 한 줌 뽑아낸 풀로 인해 훤해진 블루베리밭을 보고 있자니 뿌듯해진다. 다만 풀을 뽑으면서 느낀 것이지만 개미들이 너무 많다. 풀 뿌리 쪽에 집을 지어놓은 개미들이 알을 엄청 낳아 놓기도 했다. 풀을 뽑으면서 개미에게 수차례나 물렸다. 따끔따끔할 때 쳐다보면 개미가 있다. 집 안에도 개미가 많은지라, 개미를 적당히 억눌려야 할 필요가 있다. 딸내미 말 마냥 정말 어디서 개미핥기라도 데려오고 싶은 심정이다. 생태계의 균형을 이야기하지만, 이 균형잡기가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를 실감한다. 마음의 균형은 중용 또는 중도일터. 삶도 농사도 균형을 잘 잡아갔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