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년 7월 13일 흐린 뒤 비(장마) 21도~25도
요즘 일기예보는 거의 일기 중계도 제대로 안 될 정도. 수시로 예보가 바뀐다. 날씨가 그야말로 예측불가라는 이야기. 슈퍼컴퓨터로도 계산이 안된다는 소리. 점점 더 날씨의 변동 폭은 커질 것이고, 예보는 더욱 어려워질 듯하다. 다만 위성과 컴퓨터의 계속되는 발달이 이런 변동성까지 잡아낼 지는 두고 볼 일이지만.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713/pimg_7731841433481901.jpg)
올해 도라지를 심은 곳에 금화규가 몇 개 싹을 터서 자라고 있다. 지난해 금화규를 심었던 자리라는 것을 알려주는 셈이다. 도라지보다 키가 빨리 크니, 경쟁에서 유리하다. 도라지 사이에서 키를 키우던 금화규가 불과 무릎 높이에서 꽃을 피우기 시작했다. 씨앗을 뿌려 키워낸 금화규는 자연스레 싹을 틔운 것보다 2배 정도 빨리 자라고 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713/pimg_7731841433482115.jpg)
금화규는 골든 히비스커스로 불리는데, 뿌리와 줄기, 꽃, 잎을 모두 약재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꽃과 잎은 밥을 할 때 함께 넣어서 밥물로 활용할 수도 있고, 차로도 먹을 수 있다. 금화규 꽃은 아침 일찍 피어서 오후가 되면 시들어버리는데, 다음날 다시 꽃을 피우지 않고 바로 떨어져버리기 때문에 꽃이 핀 날 오전에 수확하는 것이 좋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713/pimg_7731841433482137.jpg)
꽃을 건조시킬 때는 수술과 꽃받침을 제거해야 한다. 이 두 가지에 알러지를 일으킬 수 있는 성분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자연 상태로 건조하기는 쉽지 않다. 보통 건조기를 사용한다. 집에 건조기가 없어서 그늘진 곳에 놔두기로 했다. 햇빛을 직접 쬐면 꽃잎이 제 형태를 유지하지 못해서다. 콜라겐 성분이 많아 건조하는데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하는 듯하다. 지난해에는 꽃을 따서 밥을 할 때마다 넣어 먹곤 했다. 거의 무색, 무취인지라 요리시 재료 본연의 맛을 해치는 경우는 거의 없다 할 수 있겠다. 올해는 상황을 봐서 시간이 된다면 잎차도 한 번 만들어 볼 생각이다. 지난해 만들었던 청과 술은 추출이 잘 되지 않아서 양이 거의 없다. 올해 또 한번 시도해볼지는 고민이다.
놔두면 절로 자라는 것. 자연이란 그렇게 스스로 그러하게 나서 자라고 죽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