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년 5월 20일 맑음 11도~27도
토종 참깨와 검은깨를 구했다.

이번에 구한 토종 참깨는 깨소금용으로 좋다고 한다. 기름으로 짜기 보다는 깨소금으로 쓰면 고소한 맛이 일품이란다. 검은깨도 토종으로 마찬가지다. 이번에 얻은 검은깨는 참깨보다는 그 역사가 조금 짧다고 한다.

어디에 심을지 고심하다 고추 뒤편에 참깨를 심기로 했다.

자주 걷는 곳인데다 가문 탓에 땅이 조금 딱딱했다. 땅을 삽으로 뒤집어 엎고 밭을 만들어 심을까 생각하다 텃밭용 흙이 있어서 이것을 위에 뿌려보기로 했다. 참깨가 싹이 나고 나중에 이 딱딱한 곳까지 뿌리를 내릴지 궁금하다. 올해는 시험삼아 이런 방법을 써본다.

손가락으로 살짝 눌러 구멍을 내고 참깨 몇 알을 집어넣었다. 흙으로 덮지 않고 물을 주어 자연스레 흙이 덮이도록 하였다. 올해 이런 방식이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걱정 반 기대 반이다.

검정깨는 도라지와 둥굴레 사이에 심기로 했다.

흙 색이 검다보니 검은깨를 심어도 잘 보이질 않는다. ^^; 이곳도 땅이 딱딱하다. 작물을 키우던 곳이 아니고, 땅을 엎어준 적도 없어서, 과연 깨 뿌리가 이 딱딱한 땅을 뚫고 뿌리를 뻗어갈지 의문이다. 아무튼 올해는 시험이다. 시험이 성공한다면 딱딱한 땅이라도 과감하게 도전해 볼 수 있겠다. 유기물이 풍부한 땅이라면 꽤나 땅이 부드러울텐데.... 아직 밭 곳곳에 유기물이 부족한 것을 느낀다. 급한 마음을 다잡고, 천천히 천천히 흙을 만들어가야겠다.
갈 길은 멀지만, 갈 길이 있어서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