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년 5월 15일 맑음 6도~22도


집 앞 논들에 물이 들어간 지 얼마 안되어 모든 논에 모가 들어왔다. 



이앙기로 1시간 정도면 뚝딱 논에 모가 심겨진다. 사람 열 명 정도가 서너 시간 해야 할 일을 기계 하나가 금방 해치워버리는 것이다. 점차 노령화되는 농촌에서 농업의 기계화는 필수가 되어가고 있다. 같은 이앙기로 논 대여섯필지가 한꺼번에 모내기를 끝냈다. 



집을 둘러보다 지난번 감자처럼 싹이 나거나 썩어가는 고구마를 발견했다. ㅜㅜ 줄곧 먹다가 한 번 건너뛰면서 존재를 잊어버리는 경우가 종종 있다. 뭐, 질리기도 한 것일 수도 있고. 어쨌든 고구마에 싹이 텄으니 이건 먹기보다는 심는 게 낫겠다 싶었다.



고구마 수확은 못하더라도 고구마 줄기를 반찬으로 해 먹을 수는 있을 거다. 2년 전 고구마를 심었을 때에도 고구마 줄기를 실컷 먹은 기억이 있다. 



도라지싹이 한 군데 몰려서 나왔다. 



솎아도 줄 겸 싹이 나오지 않은 곳에 일부를 옮겨 심었다. 한두개씩 정성들여 옮겨 심으면 좋을 일이지만 그냥 열개 정도씩 쓱쓱 떼어내서 한 무더기로 듬성듬성 옮겼다. 뭐, 이렇게라도 잘 자라주면 좋겠다. ^^


옮겨 심고, 파종하는 일은 여전히 기계 보다는 손이다. 이런 일을 기계가 할 수 있다면 농사도 참 쉽겠다는 생각도 해본다. 물론 기계는 석유든 전기든 에너지가 들어가야 하지만. 마찬가지로 사람 손으로 하는 것도 에너지를 소모하는 일이기는 하다. 아무튼 이앙기가 모내기하는 모습을 보면서 새싹들을 심다 보니 농사의 스마트화와 자동화는 과연 어디까지 발전할 수 있을지 궁금해진다. 그리고 이런 변화가 과연 인류에게 축복이 될 것인지도. 


지구가 더워지면서 에어컨을 켜야만 하고, 에어컨을 키는 것 때문에 지구는 더 더워지는 이런 악순환이 농사에서도 벌어지는 것은 아닐지 불온한 상상도 해본다. 올해 인도에서는 이상고온으로(45도를 넘어가는 날씨가 이어지고 있다) 밀 생산량이 줄어들 것을 예상해 수출을 금지했다. 식량 생산이 무기가 될 만큼 귀해진다면, 세계 각국은 고에너지를 사용해서라도 식량을 생산해야 하는 상황에 몰릴 것이다. 그렇게 되면 스마트화와 자동화가 아무리 에너지를 많이 쓰고 그 탓에 비싼 비용을 들이게 되더라도  결국 진행될 수밖엔 없을 것이다. 그리고 이런 고에너지의 사용은 다시 기후변화를 가속화함으로써 식량생산을 더 어렵게 만들 것이고. 이런 악순환의 고리를 끊을 방법은 자연의 순환을 끊지 않는 농사일 것이다. 지속적이면서도 고품질이며 다수확할 수 있는 순환농법이 필요한 시점이다. 농사의 편리와 함께 지속성에도 관심이 갔으면 하는 바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