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년 5월 8일 맑음 10도~19도
데크 일부분이 오일스테인이 벗겨지면서 맨몸을 드러냈다. 오일스테인에 따라 다르겠지만, 보통 오일스테인을 한 번 바르면 1~2년 정도는 버틴다. 지난번 오일스테인을 바를 때는 날씨가 너무 더워서 땀을 꽤 흘렸다. 올해는 더 더워지기 전에 얼른 오일스테인을 발라야 겠다고 다짐하고, 일을 벌였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510/pimg_7731841433407904.jpg)
먼저 빗자루로 데크를 깨끗이 쓸었다. 오일스테인을 제대로 바르려면 기존의 칠을 사포 등으로 벗겨내는 작업을 해야겠지만, 그정도까지 할 여력이 되지 못한다. 만약 사포로 벗기는 작업까지 해야 한다면, 아마 일을 시작도 하기 전에 포기하고 말았을 것이다. 적당한 타협점이 빗자루로 깨끗이 쓰는 정도.
지난 번에는 붓으로 결 사이사이까지 꼼꼼히 발랐다. 시간도 오래 걸릴 뿐더러 쪼그려 앉아서 붓질을 하다보면 허리, 어깨, 무릎이 다 아파온다. 그래서 올해는 롤러로 오일스테인을 발라보기로 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510/pimg_7731841433407905.jpg)
오일스테인을 바른 쪽과 바르지 않은 쪽과의 차이가 드러나기 시작한다. 지난번에는 1차 바르기에 3시간 정도 걸렸다. 이번에 롤러로 바꾸면서 시간은 조금 당겨졌다. 2시간 30분 정도. 날이 흐려서 다행이었다. 하지만 같은 동작을 두 시간 넘게 무한 반복하다보니 막판 20~30분 정도는 슬슬 땀이 나기 시작한다. 더운 날이었다면, 지난번처럼 고생 좀 했을 법.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510/pimg_7731841433407909.jpg)
1차 도포 후 다섯 시간 쯤 지나서 2차 바르기를 시작했다. 두 번 바르기를 통해 덮어 바르기를 하면 데크 나무의 뒤틀림이나 썩는 것을 방지하는데 더 도움이 될 것은 당연한 일일 터. 롤러로 처음 하면서는 이곳 저곳에 튀면서 손목 쪽에도 상당 부분 묻는 낭패를 경험했다. 두번째 하면서는 요령이 생겨 나뭇결 사이사이로도 충분히 스며들면서 손목이나 주위로는 덜 튀게 바를 수 있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510/pimg_7731841433407910.jpg)
하지만 오일스테인이 조금 부족했다. 할 수 없이 20% 정도는 1차 도포에 그치고 말았다. 1차와 2차 사이의 경계가 뚜렷하다. 롤러로 하면서 좀 더 쉬워지긴 했지만 여전히 쪼그려 가면서 일을 하다보니 온 몸이 아프다. 다음엔 롤러 손잡이에 긴 막대기를 달아서 서서 바를 수 있도록 해야겠다. 1차 바르기 후 2차 바르기까지 끝내고 나니 냄새가 코를 찌른다. 하루 이틀은 지나야 냄새가 사라질 듯하다. 서너시간이 흐른 후 어느 정도 오일스테인이 말랐지만, 끈적거림이 조금 남아있는 듯하다. 충분히 마른 후에 사용하는게 좋을 것 같다.
오일스테인 바르기도 경험이 쌓이면서 점차 나은 방법을 찾아가는 듯하다. 처음부터 알았다면 더 좋았겠지만, 뭐, 영영 모르는 것보다 낫지 싶다. 우리도 가끔 데크에 오일스테인을 바르듯, 치명적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오일스테인을 정신에 바를 수 있다면 좋겠다. 아마도 정신의 오일스테인은 명상이지 않을까 생각도 해본다. 뒤틀리지 않고 썩지 않는 정신을 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