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년4월 30일 비온 후 맑음 10도~18도
한여름 같던 날씨가 비가 온 후 싸늘해졌다. 아침 기온이 뚝 떨어지면서 혹시나 냉해를 입지 않을까 걱정된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503/pimg_7731841433401010.jpg)
블루베리꽃도 비바람에 많이 떨어졌다. 수정이 되고 나서 떨어진 것이지, 수정이 이루어지지 않고 떨어진 것이지 모르겠다. 꽃망울 쪽을 보니 어느 정도 수정이 된 듯 하지만, 다소 걱정이 된다. 특히나 다음주 내내 아침 기온이 5도 이하라는 예보에 조마조마하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503/pimg_7731841433401012.jpg)
올해는 한 가지 더 실험을 해보려고 한다. 소나무 톱밥을 구해서 블루베리 주위에 깔아주었다. 소나무 톱밥을 깔아줌으로써 풀이 나는 것을 막아주고, 또 발효가 되면 퇴비가 될 수 있으니 1석 2조이지 않을까 싶다. 다만 검은 흙이 빛을 잘 흡수해 지온을 높여주는 장점이 있는데, 톱밥이 그 장점을 깎아먹는 것은 아닌가 우려된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503/pimg_7731841433401020.jpg)
블루베리 절반 정도에만 톱밥을 깔아보고, 톱밥이 남는다면 예전 퇴비와 섞어서 1~2년 발효시킨 후 쓸 생각이다. 생톱밥은 아무래도 미생물이 먹어치우면서 주위 질소를 가져다 쓰면서 발생하는 질소 기아현상이 우려된다. 그래서 질소를 충분히 공급해 주어야만 블루베리 성장에 지장을 주지 않을 것이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503/pimg_7731841433401021.jpg)
블루베리 묘목이 심겨진 부분도 정리를 했다. 묘목보다 키가 더 자란 풀들을 깎아주고, 묘목 주위 풀은 뽑고 나서 퇴비와 흙을 골고루 섞어 주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503/pimg_7731841433401024.jpg)
묘목 주위 쑥을 뽑아냈더니 땅 속 깊이 박힌 실타래처럼 얽힌 뿌리가 모습을 드러낸다. 정말 쑥의 생명력이란 대단하다. 이렇게 캐낸 쑥을 따로 모아서 말린 후 쑥떡이나 다른 요리에 쓰면 좋을텐데, 따로 먹을 여력이 없다. 그냥 풀을 뽑는대로, 쑥도 함께 방치해 둔다. 풀 정리가 어느 정도 일단락이 되면 쑥을 캐면서 따로 모을 정도의 여유를 가졌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