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를 위한 새로운 생각 - 우리는 더 이상 성장해서는 안 된다
마야 괴펠 지음, 김희상 옮김 / 나무생각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코로나19로 세계경제가 흔들리고 있다. 세계경제가 잠시 멈추면서 우리가 마주친 것 중 하나는 역설적이게도 맑은 공기와 아름다운 자연이었다. 하지만 이것도 잠시, 경제는 여전히 예전대로 성장하기 위해 에너지를 소비하고 있다. 잠시 맑았던 공기는 다시 미세먼지로 가득하고, 지구는 계속 달구어지고 있다. 


코로나19라는 바이러스는 어찌됐든 시간이 지나면 바이러스라는 속성상 결국 해결되어질 것이다. 다만 얼마나 빨리 해결되는가의 문제이고, 고통받는 사람들을 줄이기 위해 그 시기를 앞당기기 위한 노력이 펼쳐지고 있다. 


하지만 지구가 달구어지고 있는 위기는 어떤가. 폭염, 폭한, 폭우, 폭설 등 점차 기후변화의 혹독함을 자주 접하면서 그 위기감이 증폭되고 있긴 하지만, 여전히 우리 삶에서는 동떨어진 느낌이다. 지구의 온도를 낮추자는 목소리는 들리지만, 그것을 위한 행동은 쉽게 찾아볼 수 없다.  


이책 [미래를 위한 새로운 생각]의 저자 마야 괴펠은 우리가 지구를 위한 행동에 나서지 못하는 이유를 설명하고, 더 늦기 전에 즉각 행동에 옮길 것을 주장한다. 

그가 책에서 내세운 여러가지 이유 중 기억에 남는 것은 두 가지 역설이다.


하나는 가치의 역설. 우리가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꼭 필요한 물과, 생존에는 그다지 쓸모가 없는 다이아몬드는 그 가치에 있어서는 물이 훨씬 중요하지만, 그 가격은 다이아몬드가 수만 배 높다.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가격, 즉 돈이 가치를 결정하는 듯 여겨지지만, 물과 다이아몬드를 보면 전혀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된다. 우리에게 지구는 물 같은 존재일지 모른다. 그 가치는 엄청나지만 가격은 홀대받는 것. 하지만 공기와 자연이 공짜라고 해서 아무렇게나 대접할 순 없다. 진정한 가치있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또하나는 이스털린의 역설이다. 이스털린 역설이란 소득이 증가해도 행복은 정체되는 현상을 일컫는다. 의식주를 해결하고 일정 수준 이상의 소득이 생기고 난 이후에는 소득과 행복 간에는 비례관계가 없어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소득을 더 얻기위한 노력보다는 행복을 얻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지금의 자본주의는 끝없는 성장을 추구하고, 이 성장이 행복을 보장할 것이라고 유혹한다. 물질에 대한 욕망을 끝없이 자극함으로써 자본주의는 그 힘을 키워가는 셈이다. 이런 성장의 논리는 지금의 화석연료가 가져온 폐해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그린에너지를 택한다. 언뜻보면 지구를, 환경을 위한 정책으로 보인다. 하지만 지금과 같은 막대한 에너지 소비 자체가 가져오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은 아니다. 성장의 방법만을 바꾸고자 할 뿐 성장에 대한 집착은 여전하다. 지구를 살리기 위한, 아니 인류를 살리기 위해선 욕망을 덜어내고 성장에 대한 집착에서 벗어나야 하는 것은 아닐까, 이스털린 역설이 말해주는 듯하다. 


지구온난화가 가져오는 위기는 공유지의 비극을 닮았다. 지구라는 공유지를 개인(국가)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사용함으로써 지구는 황폐화되고 있다. 지구의 황폐화는 한 개인이나 국가에게 피해를 주는 것이 아니라 전체 인류, 국가는 물론 후대에게까지 악영향을 미친다. 기후변화의 피해는 우리의 삶 전체를 흔들 수 있다. 영화 [돈룩업]에서 혜성이 지구와 충돌할 것이라는 사실 앞에서, 각자의 진영 논리로 인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종말을 맞듯, 우리는 지구온난화라는 혜성이 코앞에 다가오고 있음에도 행동에 나서지 못하고 있다. 미래를 위해 우리는 돈과 성장의 굴레에서 벗어나 새로운 생각을 가져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