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굿 이너프 - 평범한 종을 위한 진화론
다니엘 S. 밀로 지음, 이충호 옮김 / 다산사이언스(다산북스) / 2021년 6월
평점 :
진화를 바라보는 시선의 핵심에는 다윈이 우뚝 서 있다. 그가 말한 자연선택은 어느덧 적자생존을 의미했고, 이것은 경쟁의 당위성과 1등을 추구하는 경제와 철학의 근거가 되었다. 즉 자연환경에 가장 잘 적응한 생명체만이 살아남을 수 있으며, 그렇게 살아남은 생명체의 유전자가 후대에 전해지면서 진화가 이루어진 것이라 보는 것이다.
하지만 이 책 <굿 이너프>는 진화가 적자생존이 결코 아니라고 주장한다. 자연환경에 적응하지 못한 운 나쁜 꼴찌만이 퇴화할 뿐, 꼴찌를 제외한 모든 개체가 살아남아 후대에 유전자를 전달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각 종마다 제한된 특성을 지닌 존재만이 살아남는 것이 아니라, 넓은 스펙트럼을 지닌 개체들이 생존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이는 서로 경쟁할 필요가 없는 상태를 의미하며, 또한 적자가 아닌 과잉 또는 거품을 용납할 수 있음을 뜻한다.
이런 주장의 증거로 내세운 것은 바로 기린이다. 영화(원작은 웹툰) <해치치 않아>에서도 망해가는 동물원을 일으켜 세울 히든 카드로 기린을 내세울 만큼 기린은 고대로부터 사람들의 많은 관심을 받아왔다. 기린의 이런 주목성을 역사적 사실과 함께 진화적 형태로 접근하는 책의 초반부는 정말 흥미진진하다. 기린의 목이 길어진 것이 결코 자연에의 최적의 상태로 적응을 위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밝힘으로써 적자생존이 잘못되었음을 주장하는 근거로 쓰인다.
아무튼 생존은 경쟁 보다는 운이 더 결정적으로 작용하는 듯하다. 게다가 인간은 이미 생존의 기본 조건들을 다 갖추어 놓았으며, 생존을 넘어선 문명을 건설했고, 계속 건설해가고 있다. 이런 문명은 생존을 위한 최적의 상태를 위해서라기 보다는 오히려 할 일이 없어진 뇌세포가 무엇인가 할 일을 찾아 만든, 즉 심심함을 견디지 못한 뇌가 재미를 위해 벌인 일이라는 것이 책의 저자 다니엘 밀로의 주장으로 보인다.
지금까지 우리는 살아남기 위해, 즉 적자생존하기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는 것이 자연의 또는 진화의 당연한 원칙이라 여겼다. 하지만 진화는 우리에게 경쟁이 필수조건이 아님을 알려주고 있으며, 오히려 과잉 또는 거품이 생명의 본질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즉 경쟁을 자극하는 자본주의의 속성이 인간 또는 생명 본성과 어긋난 일일 수도 있다는 것을 생각해보아야 한다. 지금까지 인간의 문명이 운과 재미로 일구어 온 것일지 모른다면, 이제 우리 인간이라는 종이 생존을 넘어 행복으로 가는 길은 경쟁이 아닌 포용과 따분함에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스쳐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