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만 잘 하면 456억원을 벌 수 있다고? 누가 참가하지 않겠는가. 그런데 패배는 죽음이라.... 머뭇거려지는가. 목숨을 걸기엔 부족한 액수라서? 아니면 개똥밭에 굴러도 이승이 좋으니까? 그런데 이승이 지옥같다면 게임에 참가할 마음이 생길까. 




넷플릭스에서 화제를 몰고 있는 <오징어 게임>을 보았다. 1화를 보자마자 드는 생각은 일본 만화 <도박 묵시록 카이지>의 한국판 게임 버전이었다. 물론 카이지는 게임이 도박이라는 것이고, 오징어 게임은 한국의 전통(?) 놀이라는 것이 다르다. 여기에 더해 아주 큰 차이가 하나 더 있다. 바로 공정성이다. 



카이지에서는 도박 게임의 결과가 일방적으로 누군가에게 유리하도록 조작되어진 상태로 게임이 진행된다. 주인공인 카이지는 이런 조작을 간파하고, 오히려 불리함을 이로움으로 바꾸는 통쾌한 반전을 펼친다. 반면 오징어 게임은 게임의 주최자가 게임이 공정하게 진행되도록 관리한다. 미리 다음 게임을 알고서 유리한 선택을 취했던 참가자를 공개처형할 만큼 신경을 쓴다. 소위 말하는 부정부패나 비리는 없다는 것이다. 참가자들이 뛰고 있는 운동장만큼은 현실과는 달리 기울어지지 않도록 만들었다는 것을 강조한다. 


로또는 1,000원을 투자해 수십억원을 벌 수 있는 도박이다. 결과는 순전히 운에 달렸다. 누구에게나 동일하게 운이 적용된다. 1,000원의 가치는 동등한 1등 확률을 보장한다. 너무나 희박해서 그렇지... 그런데 화천대유 사건은 어떤가. 로또와 다름없는 대박을 얻지만, 누구에게나 공평한 기회가 주어진 것은 아니다. 정보를 입수하고, 자신에게 유리하도록 계약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일반인은 엄두도 낼 수 없는 힘의 커넥션이 작용했을 것이다. 화천대유가 분노를 일으키는 것은 그 불공정성에 있다. 한편으론 내가 그 불공정의 특혜를 입을 수 없다는 좌절과 분노도 있을 것이다. 우리가 일확천금을 목표로 살고 있는가는 논외로 치고 말이다. 


주인공인 이정재가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달고나, 줄다리기, 구슬치기, 징검다리 건너기 등의 각종 게임에서 살아남을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참가자들과 도움을 주고받는 연대였다. 물론 죽음 앞에서 거짓말로 위기를 모면하기도 하지만, 자신이 이기기 위해 타인을 죽음으로 내몰지는 않았다. 그런 마음을 갖고서 게임에 임했는데 우승을 차지하다니... 정말 용케도 우승을 차지한 셈이다. 선한 마음의 선한 결과는 현실과 동떨어져 보이기 때문이다. 


아무튼 오징어 게임 속에 등장하는 게임들은 얼핏 보면 공정한듯 보인다. 게임의 승패를 가르는 요소 중의 하나가 운이기 때문이다. 달고나의 모양이라든가, 건너뛰기의 순서 등은 그야말로 운발이다. 하지만 달리기가 빠른 이의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와 유리 전문가의 건너뛰기, 힘이 강한 자의 줄다리기 처럼 필시 누군가에겐 유리한 게임이 등장할 수 밖에 없다. 참가자들이 모두 똑같은 사람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래서 오징어 게임처럼 공격자가 일방적으로 유리하지 않도록 암행어사를 외치기 전까지는 한 발로 뛰어다니도록 핸디캡을 만드는 등의 보완요소가 등장하게 된다. 하지만 개인적으론 게임의 공정성도 중요하지만(공정성에 대한 의견통일은 지난하다) 그 결과가 몰아주기가 되어서는 안된다는 생각이다. 승자독식! 공정과 함께 생각해보아야 하는 것은 이 승자독식의 결과가 아닐까. 오징어 게임에 참가한 456명 중 오직 1명 만이 456억원을 차지하는 게임이 정말 공정할 수 있겠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