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호로 역 다다 심부름집 - 제135회 나오키 상 수상작
미우라 시온 지음, 권남희 옮김 / 들녘 / 2007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소설은 다다와 교텐이라는 두 남자의 이야기다. 고교 동창이라는 사실, 교텐의 잘렸다 다시 붙여진 새끼 손가락과 서로 연관이 있었다는 사실 정도만 남겨두곤 역 앞에서 우연히 만나 생활을 같이 하게 되는 두 이혼남이다. 둘의 사랑, 결혼, 이혼 등에 대해서는 마치 수수께기를 풀어가듯 이야기가 펼쳐지니, 굳이 여기에서 밝힐 필요는 없을 것같다.

이책은 이혼과 결별이라는 상처로 인해 가슴 속에 품어둔 허무와 절망이 두 남자의 만남 속에서 희망으로 변해가는 모습을 담았다고 말할 수도 있겠다. 그래서 작가는 마지막 결론에 행복은 재생된다고 다다의 입을 통해 자신있게 전달하고 있는 것이다.

다다는 심부름집을 한다. 교텐은 보조라고 하기에는 오히려 일을 망치는 그래서 가만히 있는게 도와주는 사람이다. 하지만 알고보면 꽤 도움이 많이 된다. 그런 잡다한 이야기들이 소설을 이끌어간다.

타인의 속마음을 추축해 보는 것은 참으로 오랜만이었다. 다다는 타인과 함께 생활하면서 겪는 번거로움과 낯간지러운 작은 기쁨을 동시에 느꼈다. (68쪽)

혼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익숙함과 편함. 공동생활의 번거로움. 하지만 그 뒤편엔 분명 작은 기쁨들이 놓여있다. 번거로움과 기쁨 사이에서 어느 것이 더 자신에게 크게 다가오느냐에 따라 삶의 방식의 선택이 달렸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소설 속에선 선택의 자유로움은 없고 운명처럼 함께 살아가게 되지만 말이다.

누군가한테 필요한 존재라는 건 누군가의 희망이 된다는 의미야(105쪽)

때론 그 희망때문에 절망으로 빠질터이지만, 그래도 희망은 항상 밝은 것 아니던가.

살아 있으면 언젠가는 기회가 있어. 그걸 잊지마.(162쪽)라고 우리는 혹시 우리 자신을 위로하고 속이고 있는 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렇게 속아넘어간들 또 어떠랴.

혼자 있고 싶어. 누가 있으면 외로우니까. 하지만 이런 생각을 한다는 것 자체가 이미 몹시 외롭기 때문이 아닐까.(228쪽) 결국 또다시 절망으로 빠지는 다다. 딱 우울증 증상이다. 그것을 깨뜨리는 것은 주변의 관심이라고 항상 말하지 않던가. 그래서 교텐은 그에게 말썽꾸러기인듯 하면서도 힘이 되어주는 존재가 된다.

불행하지만 만족할 순 있지. 후회하면서 행복할 순 없어. 어디서 멈출지는 스스로 결정할 일 아냐(290쪽)

악의가 없었다고 해서 죄가 아닌 건 아냐(328쪽)

그래서 세상은 요지경이다. 그래서 세상은 서로 품어줘야만 되는 곳인지도 모른다. 다다와 교텐이 그러는 것처럼.

소설 속 장면들을 몇개 빼내다보니 왠지 우울한 소설처럼 보인다. 하지만 정말 명랑유쾌한 소설임을 밝힌다. 그러니까 순전히 우울한 부분만, 또는 심각한 부분만 간추렸다고 볼 수 있으려나... 재미있는 에피소드들이 실은 행복이란 무엇일까를 생각하게 만든다는 것을 보여주려 했을 뿐이다.

때로는 배려라고 생각했던 것이 악의로 변하기도 하고, 무심한 것이 도움을 주기도 하는 곳이 세상이다. 철저히 혼자이고자 해도 혼자일 수 없는 것이 세상의 이치다. 그래서 만남은 끊임없이 일어나고 그 만남을 통해 우리는 삶의 방식에 대한 선택의 상황에 자주 처한다. 그리고 그 선택은 오로지 자신에게 달렸다. 자신이 처한 환경의 조건을 완전히 바꿀 수 없는한. 우리가 그 조건을 바꾼다는 것은 만남의 폭을 넓힘으로써 가능하다는 전제가 있어야 하겠지만. 허무한 두 남자가 어떻게 행복을 찾아가는지 소설을 통해 슬그머니 느끼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