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년 4월 26일 맑음 6도~22도
살아날지 죽을지 염려된 것들 중 하나인 오미자가 싹을 내더니, 어느새 꽃봉오리가 맺혔다. 지난해 뿌리를 옮겨 심었던 오미자는 박주가리 탓에 성장을 제대로 하지 못했다. 기껏해야 허벅지 정도까지 자랐다. 대신 오미자인줄 알고 유인해서 키웠던 박주가리는 열매까지 맺어 한 해 성장을 잘 마무리했다. 그래서 올해도 혹시나 이 박주가리로 인해 오미자가 잘 자랄 수 있을지 걱정이 되었다. 하지만 기우였다. 지난해 자랐던 그 짧은 가지에서 잎이 나더니 생명을 이어가고 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427/pimg_7731841432928574.jpg)
전정 같은 것도 하지 않고 거의 방치하다시피 했는데도, 일부는 꽤나 키를 키웠다. 하지만 대다수는 여전히 허벅지 언저리에 그대로 머문채 가지를 자라지는 못하고 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427/pimg_7731841432928576.jpg)
키를 부쩍 키운 가지에서는 꽃이 피기 시작했다. 오미자는 암꽃과 수꽃이 따로 있는데, 안쪽면이 분홍색을 띠는 것을 보니 수꽃처럼 보인다. 처음엔 혹시나 박주가리가 또 먼저 자란 것이 아닐까 의심해봤지만, 오미자가 맞았다. 잎이 무성해지고 있으니, 머잖아 가지를 쳐주어야 할 듯 싶다. 그리고 유인할 수 있는 지지대도 새롭게 정비를 해야할 성 싶다. 그저 집에서 먹을 정도만 열매를 맺어주기를 바라고 있는데, 올해는 한 주먹 정도나 얻을 수 있을지 모르겠다.
자리를 잡는 것이 어려울 뿐, 한 번 자리를 잡은 것들은 잘 버텨주고 있다. 도라지, 둥굴레, 오미자, 복분자. 모두 고마울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