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진시황의 명을 받아 불로장생의 약을 찾기 위해 떠난 서복처럼 영화의 의도는 결국 오리무중이 되어버렸다. 볼거리★★ 생각거리★ 마음거리


2. 시한부 인생인 전직 요원 민기헌(공유 분)은 영원한 삶을 살 수 있다는 복제인간 서복(박보검 분)을 옮겨달라는 부탁을 받는다. 기헌이 서복과 함께 이동 중 급습을 받고, 둘은 살아남기 위한 여정을 떠난다.  


3. 영화<서복>은 얼핏 기헌과 서복의 로드무비처럼 보인다. 도망다니는 길목에서 마주치는 모든 것이 신기한 서복과, 오직 자신의 임무만을 빨리 완수하려는 기헌의 갈등이 소소한 재미를 준다. 기헌과 서복의 대화는 마땅히 당연하다고 여기는 것에 대한 왜?라는 질문이 갖는 힘을 보여준다. 서복을 빼앗으려는 집단으로부터 빨리 벗어나야 한다는 기헌에게 "왜 당신을 따라가야하죠?" "당신이 나쁜 사람이 아니라는 것을 어떻게 알죠?"라는 식의 질문은 우리가 마주하는 것들이 결코 당연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생각하게 만든다. 모든 것에 의문을 품고 왜?라는 질문을 던지는 것은 피곤한 일이다. 엄청난 에너지 낭비이기도 하다. 하지만 우린 서복처럼 왜 그래야 하는지 질문을 던져볼 필요가 있다. 왜?라는 질문없이 살아가는 것은 프로그래밍된 로봇과 다르지 않아서다. 그 대답엔 과학적 이유가 아닌 가치가 숨겨져 있다. 


4. 사람이 영원한 삶을 꿈꾸는 것은 왜일까?(좀 전에 말했던 것처럼 왜? 라는 질문을 던져본다 ^^) 아마 그것은 죽음에 대한 두려움 때문일 것이다. 두려움은 무지에서 비롯된다. 즉 죽음을 알지 못하기에 두려운 것이다. 죽음 이후 우리가 어떻게 되는지를 알고 있다면 두려움은 사라질 것이다. 그런데 우리는 과연 죽음을 알 수 있을까. 공자는 자로가 죽음에 대해 묻자 "삶도 알지 못하는데 죽음을 어찌 알겠는가?"라고 답한다. 즉 알수 없는 죽음을 알기 위해 애쓰기 보다 지금 이렇게 살아있는 현재에 충실하자는 의미일 터이다. 천상병 시인이 <귀천>에서 이 세상을 소풍왔다 가듯 생각하는 것도 이런 맥락일 것이다. 

반면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라기 보다는 현재 자신이 누리고 있는 것, 그리고 욕망하는 것을 계속해서 이어가고자 하는 욕심의 발로가 불멸의 존재를 꿈꾸는 것일 수도 있다. 하지만 욕망의 충족은 끝이 없고, 욕망의 크기는 더욱 커지며, 결국 욕망을 좇는 그림자로 영원히 살아갈 수도 있다. 물론 불멸의 삶을 살아보지 못했기에 불멸의 삶이 축복일지, 재앙일지는 모르겠다. 하지만 대부분 불멸의 삶을 다룬 소설, 드라마, 영화들은 작품 속 주인공들이 죽음을 꿈꾸는 것으로 묘사한다. 특히나 사랑하는 이들을 먼저 보내는 고통을 끝도 없이 반복해야 하는 것에 치를 떤다. 그렇다면 모두가 영원한 삶을 누기게 된다면 이런 고통도 없을테니 괜찮을까. 문득 친구의 어머니께서 돌아기시 전에 했던 말씀이 떠오른다. "사는게 지겹다"

영화 <서복>에서도 서복을 제거하려는 이유는 모두가 불멸의 삶을 살게된다면 재앙이라 여기기 때문인듯하다. 


5. 영화 <서복>은 영원한 삶이라는 소재와 함께, 인간의 목적을 위해 태어난 복제인간이나 유전자 조작 인간이 과연 인간일 것인지, 도구일 것인지 묻는다. 이런 질문을 던지는 영화는 굉장히 많다. 그리고 대부분 답이 정해져 있다. 그들도 자유의지를 갖고 있는 인간이라는 것. 그런데 우리는 장기 이식을 위해 유전자 조작으로 동물을 만들어 내고자 한다. 동물은 그저 인간이 아니기에, 마치 우리가 고기를 먹듯, 생명체라기 보다는 수단과 도구로 여기는 사고에 익숙해져 있다. 반려동물로 애정을 쏟는 대상과, 고기를 제공하는 대상의 기준은 무엇일까. 그 의도와 목적이 기준이 되는 것이라면, 우리가 사람을 대하는 것도 의도와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까. 영화 <서복>에서는 이런 질문을 넌지시 내뱉지만 깊게 파고들지는 않는다. 다만 우리가 자유의지를 가진 존재를 수단으로 여길 때 그 존재의 분노가 우리를 집어삼킬 수 있음을 액션을 통해 보여주고 있을 뿐이다. 영화 마지막 10여 분 간 서복의 분노가 터지는 액션은 공을 들인만큼의 특수효과가 빛을 발하지 못한다. 너무 낯익은 모습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낯익은 액션 만큼이나 우리 영화에 등장한 유전자 조작 및 복제 인간 '서복' 또한 신선하기 보다 낯익게 다가온다는 것이 못내 아쉬움으로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