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영양의 비밀 - 동물에게 배우는 최상의 건강관리 비법
프레드 프로벤자 지음, 안종설 옮김 / 브론스테인 / 2020년 6월
평점 :
절판
병원에서 약을 받을 때, 만약 나와 누군가가 똑같은 증상을 보이고 있다면 처방된 약도 똑같을 확률이 100%에 가깝다. 병원에서는 아픈 사람들의 증상을 토대로 병명을 규정하고, 이 병명에 맞추어 증상을 호전시칼 약을 지정하기 때문이다.
한방에서는 같은 증상이라 하더라도 환자에 따라 약이 달라진다. 소위 '체질'을 따지고, 이에 맞추어 약을 짓기 때문이다. 같은 병적 증상을 보이더라도 체질에 따라 그 원인과 대처가 다르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 체질은 사상체질을 비롯해서 한방의 학파에 따라 팔체질, 십육, 삼십이.... 등 수없이 갈라질 수 있다.
이런 사람간의 차이를 극대화하면 체질은 70억 가지로 나뉠 수도 있다. 다만 이렇게 개개인의 특성을 세분화하려면 개인 각각의 신체가 보내는 신호를 모두 데이터화하고, 이것에 맞춘 대응책도 경험을 통해 차곡차곡 정보를 쌓아서 의미있는 치료책을 만들어가야 한다. 이런 작업은 옛날이라면 불가능에 가까웠을테지만, 컴퓨터의 놀라운 발전과 유전학의 발전에 힘입어 점차 개인 맞춤형 건강유지는 공상이 아닌 현실이 되어가고 있다. 즉 70억가지 체질 분류가 가능한 시대가 오고 있는 것이다.
개인 각각의 고유한 차이, 그리고 환경과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영향력 등을 감안한 맞춤형 건강법이 미래의 건강법이라고 하지만, 인간의 동물적 특성, 포유류적 특성, 그리고 영장류적 특성이라고 할 만한 공통적 사항은 추려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런 공통적 사항을 근거로 인간이 건강하게 지낼 수 있는 영양학적 방법을 제시할 수도 있다.
이책 [영양의 비밀]은 왜 현대인은 과식을 비롯한 잘못된 식습관을 통해 각종 대사성 질병에 시달리게 되었는지를 따져보고, 근본적인 해결책이 무엇인지를 농업의 발전, 생태학, 유기화학을 비롯해 양자물리학까지 동원해 고민하고 있다.
먼저 현대인이 과식을 하게 된 배경으로는 음식의 질이 저하된 것이 하나의 요인이라고 밝힌다. 음식의 질이란 암 발생을 억제하는 등 건강에 도움을 주는 피토케미컬의 양에 좌우된다고 본다. 각종 음식의 피토케미컬이 줄어든 요인은 재배하는 농민이 질보다는 양을 우선시함으로써 종자 자체가 변한 것, 관개시설과 비료의 충분한 공급으로 피토케미컬 형성 조건이 줄어든 것, 완전히 익지 않은 설익은 상태로 유통되는 것, 대기 속의 이산화탄소가 증가함으로 인해 작물의 단백질 농도와 목초의 아연, 철분 등이 감소된 것 등을 꼽고 있다. 여기에 더해 현대인의 식량 소비의 약 90%가 15종의 식물이라는 단일화의 문제도 더해진다.
따라서 인간은 피토케미컬을 충분히 취하기 위해 예전보다 많이 먹을 수밖에 없는 환경을 갖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런 문제점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생산적 측면에서는 피토케미컬이 충분하도록 작물을 키우는 유기농 방식과 케이지 사육과 같은 공장식 축사에서 벗어난 방목형 축산방식도 하나의 방법이다. 소비적 측면에서는 여러가지 이차화합물을 얻어 음식의 질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음식을 취하고, 에너지 과잉을 억제하기 위한 소식도 중요하다.
하지만 생산적, 소비적 측면의 변화는 나 혼자만의 힘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이책 [영양의 비밀] 저자는 시스템이 낳은 결과에 대해 모든 구성원이 생태적으로, 경제적으로, 사회적으로 책임을 공유할 수밖에 없음을 말한다. 우리는 세상의 관찰자가 아니라 <얽힌> 참여자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경기에 참여함으로써 경기장을 바꿔놓을 수 있는 것이다.
즉 우리가 어떤 음식을 소비하느냐가 생산의 방식을, 유통의 방식을, 삶의 방식을 바꾸어 놓을 수도 있는 것이다. 자, 그러니 우리는 시장에 내놓은 여러가지 음식을 수동적으로 소비해 먹는 것에 그치지 않고, 우리가 원하는 맛있고 건강한 음식을 먹을 수 있도록 생산자와 유통자에게 요구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지금 내가 먹고 있는 것이 도대체 어떻게 생산되어서 내 식탁 앞에 놓인 것인지, 도대체가 어떤 음식인지부터 알아보아야 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