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사에 대한 생각 - 세계는 점점 더 부유해지는데 우리의 식탁은 왜 갈수록 가난해지는가
비 윌슨 지음, 김하현 옮김 / 어크로스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먹지 않으면 죽는다. 하지만 잘못 먹어도 죽는다. 그래서 인류 초창기부터 현재까지 무엇을 먹을 것인가는 중요한 문제이다. 


수렵, 채집 시절엔 독성의 여부가 중요했을 것이다. 먹어보고 체득한 것들이 유전적, 문화적으로 이어지는 시대로 보인다. 다양하게 먹을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그중 건강하게 살아가는데 도움이 되는 것들이 '맛있다'라고 여겨졌을 것이다. 그렇지않다면 우리는 먹는 것을 주저할 수밖에 없을 테니까 말이다. 


이어 농경의 시대로 접어들었다. 그때 그때 필요한 것들을 구하는 것이 아니라 곡물 덕분에 잉여와 보관이 가능한 시대였다. 그 덕분에 인구도 증가했고, 남는 인력으로 문명이 발전하게됐다. 하지만 먹는 종류는 단조로워졌고, 이로 인해 건강은 위협을 받았다. 한두가지 작물에 치중함으로써 환경변화에 취약해지기도 했다. 


늘어난 인구를 감당하기 위한 생산력 향상이 필요한 시기였다. 녹색혁명이 문제를 풀었다. 음식의 방점은 양이었다. 모두가 풍족하게 먹을 수 있는 양이 목표였다. 기술적 문제는 해결됐지만, 정치적 문제는 기아를 해결하지 못했다. 


값싼 가공식품의 시대가 도래했다. 가난하더라도 최소한의 생존을 위한 먹을 것을 구하는게 쉬워졌다. 또한 문명의 발달은 인간의 시간을 빼앗아, 최소한의 식사 시간마저 보장받지 못하는 사람들이 늘었다. 일하면서 먹든가, 재빨리 먹고 잠깐 쉬든가 선택해야 하는 사람들은 패스트푸드를 찾았다. 또한 패스트푸드는 문명의 상징이 되어, 개발도상국들의 국민들에겐 현대인이라는 이미지를 먹는 것이 되었다. 


하지만 음식의 변화는 영양의 전이를 가져왔다. 비만과 성인병, 각종 대사성질환이 전 세계에 퍼져 있다. 건강하고 맛있게 먹을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이책 <식사에 대한 생각>은 13가지 식사전략을 주장한다. 적게 먹고, 간식 대신 식사에 집중하고, 물이 아닌 것을 물처럼 마시지 말고, 다양하게 천천히 먹고, 요리를 배우고, 무엇을 먹고 있는지 알아야 한다는 등이다. 한마디로 장금이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야지만 우리는 진짜 음식의 맛을 음미하고, 건강을 되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식사에 대한 생각]은 이런 음식에 대한 접근은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 제도적 문제라고 본다. 사회 구성원 개인 각자가 건강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환경을 디자인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가령 레스토랑의 접시를 작은 것으로 바꾸고, 신선한 식품을 쉽게 구할 수 있는 가게가 걸어서 갈 수 있을만큼 집 근처에 위치하도록 하는 등등. 물론 이런 변화는 개인의 노력도 필요하다. 내가 지금 무엇을 먹고 있는지에 대한 관심 말이다. 


장금이의 말을 떠올려본다. 
"저는, 제 입에서는, 고기를 씹을 때 홍시 맛이 났는데, 어찌 홍시라 생각했느냐 하시면 그냥 홍시맛이 나서 홍시라 생각한 것이온데...."       
우리는 홍시맛을 잊고 살아가는 것은 아닐련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