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새 월화드라마는 작정하고 과장을 한다. SBS [펜트하우스]는 연기와 줄거리로, tvN [산후조리원]은 장르를 넘나드는 플롯으로 과장을 한다. 취향의 문제이겠지만 개인적으로는 [펜트하우스]의 과장은 채널을 돌리게 만들고, [산후조리원]의 과장은 채널을 고정시킨다. 


2. [산후조리원]은 격정 출산 느와르를 표방하고 있다. 실상은 드라마와 코미디, 스릴러 등을 자유롭게 오간다. 그러다보니 자연스레 연기의 과장이 필요해진다. 즉 [산후조리원]의 과장된 연기는 극의 자연스러운 흐름을 유도한다. 아마도 연출가가 SNL코리아를 통해 코미디를 잘 알고있기 때문이 아닌가싶다. 그저 웃는데 그치는 것도 아니다. 웃음과 함께 모성에 대한 고민과 공감을 끌어모으기도 한다.    


3. 모성이란 본능일까. 글쎄... 모성은 신화에 가까운지 모른다. 인간이 사회를 이루면서 만들어낸 이야기일 것이라는 거다. 자신이 낳은 아이를 폭행하고, 겁박하며, 함부로 대하는 엄마들을 뉴스에서 마주치게 되는 것을 보면 본능이 아닐 수도 있음을 직감하게 된다. 국가가 그렇듯이 모성도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것일지도 모른다. 그 신화가 지금 우리 사회를 버텨내게 하는 원동력의 하나일 수 있기에, 막강한 힘을 가진다. 


4. [산후조리원]은 신화가 된 모성을 갖추기 위해 성장해가는 엄마들의 이야기다. 본능이 아닌 신화이기에, 모성을 갖춘다는 것은 노력이 필요하다. 그냥 얻어진 것이 아니라 괴로움과 수고 속에서 체득되어지는 것이다. [산후조리원]은 이렇게 모성을 갖추어가는 과정 속에서 드러나는 고민과 갈등을 코미디 장르를 통해 발랄하게 보여주고 있다. 특히 오현진 역의 엄지원을 통해서 말이다. 드라마 [산후조리원]을 보며 이 땅의 모든 엄마들의 행복을 빌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