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여성의 참정권이 인정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최초의 여성참정권은 1893년 뉴질랜드에서 이루어졌고, 그후 20세기 초에 이르러서야 점차 많은 나라들이 여성참정권을 인정했다. 영국은 수차례 여성참정권을 담은 선거법안을 상정했지만 폐기되기 일쑤였다. 1917년, 1918년에 이르러서야 하원과 상원에서 차례되로 법안이 통과되었다. 

넷플릭스 영화 [에놀라 홈즈]는 영국의 여성참정권이 인정된 사건을 배경으로 셜록 홈즈의 여동생 에놀라 홈즈의 활약상을 담았다. 영화적 상상력으로 담아낸 에놀라의 활약은 자립과 사랑, 성평등의 내용을 엄마를 찾아나서는 사건으로 쾌활하게 풀어냈다.


2. [에놀라 홈즈]는 먼저 추리소설적 재미가 있다. 단서를 남겨두고 떠나버린 엄마를 찾아나서는 에놀라의 추리가 흥미를 끈다. 단서로 남겨진 단어의 철자를 바꿔서 해답을 풀어나가는 과정을 주사위 놀이처럼 표현하는 편집기법도 흥미롭다. 여기에 에놀라가 화면을 바라보며, 즉 관객과 대화하듯 이야기를 전개해가는 장면들도 영화에 빠져들도록 만든다. 


또 엄마를 찾아 집을 나서면서 처음 만나게 된 귀족 청년은 일회성 해프닝처럼 보여졌지만, 영화 전체를 이끌어가는 주요 인물이 되어가는 구성도 재미있다. 이런 구성과 편집은 물론 영화 전반을 발랄하게 이끌고 가는 주인공 밀리 바비 브라운의 분위기가 매력적이다.


3. [에놀라 홈즈]는 교육의 중요성을 외치고 있는듯 보인다. 에놀라가 자립적이면서 모험을 두려워하지 않는 것은 순전히 엄마의 교육 덕분이다. 어려서부터 갖은 인문서적과 과학서적, 실험은 물론 운동을 섭렵하게 함으로써 정신적으로도 육체적으로도 스스로 독립해 생존해 갈 수 있는 힘을 기른 것이다. 물론 이런 교육을 온전히 받아들일 수 있을 정도의 신뢰관계가 서로 간에 쌓여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겠지만 말이다. 


아이들을 키우다보면 아이가 점점 무엇인가에 물들어가는 것을 느끼게 된다. 그것이 부모의 말이 되었든, 학교의 생활이 되었든, 수많은 콘텐츠들이 되었든, 그야말로 백지장같던 영혼이 무엇인가로 채워져 가고 있음을 알게되는 것이다. 다만 수많은 것들을 채우는 것이 중요한 게 아니라 무엇을 채우고, 채워진 것들을 어떻게 융합하고, 재창조해 자신만의 것으로 만드느냐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교육은 그렇게 자신의 것으로 만들 수 있는 힘을 기르도록 하는게 아닌가 생각해본다. 에놀라가 엄마의 품을 떠나 자신의 길을 걸을 수 있는 것은 그 생각의 힘을 갖추었기 때문일 것이다. 


아이에게 우린 무엇을 건네주어야만 하고, 또한 건네줄 수 있을까. AI가 위력을 더욱 더 발휘할 세상에서 추천 알고리즘의 추천으로만 둘러싸이게 놔둘순 없는 것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